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29일 더불어민주당이 전날 의원 전원 명의로 7월 임시국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한 데 대해 "지난 수년 동안 법안 날치기 통과시키더니, 이번에는 날치기 개원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 대통령 취임식 참석차 전날 밤 출국한 권 원내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어제 민주당이 전원 명의로 7월 임시국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했다.
사실상 단독 개원을 선언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민주당은 애초부터 협상 의지가 없었다.
국민의힘이 법제사법위를 맡기로 이미 작년 7월에 약속했는데 민주당은 이를 '양보'라고 언론플레이를 했다"며 "국어적 상식에서 벗어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민주당이 제시한 사법개혁특위와 '검수완박' 헌법재판소 제소 취하 역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이라면서 "검수완박 입법독주는 민주당 혼자했는데 뒤처리는 여야가 같이 하면서 면죄부를 받겠다는 심산"이라고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무엇보다 제가 필리핀 특사로 발표되자마자, 민주당은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협상 농단'이라고 운운하며 몽니를 부리더니, 날치기 개원의 시동을 걸었다"면서 "저는 민주당이 작년 7월 여야 합의만 준수하면 원 구성이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이라고 여러 차례 입장을 밝혔다.
그런데 지난 두 달 동안 민주당은 어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170석의 힘만 믿고 약속 이행을 미루다가 양보로 둔갑시켰다.
그것도 모자라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조건을 내걸고 여당 원내대표의 외교 일정을 정쟁의 소재로 삼았다가, 마침내 날치기 개원을 선택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뭐든지 자기 맘대로 하는 민주당의 정쟁 모노드라마 마지막회는 '(국회를) 나 혼자 연다'로 끝났다.
민주당은 21대 국회 초기에 보여줬던 오만으로 되돌아왔다"며 "오만의 반복은 심판의 반복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당이 이번 달 31일부터 비례대표 국회의원 사퇴 권고 당원 총투표를 한다. 정의당은 21대 비례대표 의원 5명의 총사퇴를 권고할지 찬반을 묻는 당원 총투표를 31일부터 9월 4일까지 5일 동안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당원 투표는 온라인, ARS, 우편 투표로 나뉘어 실시된다. 투표인 명부 작성 기준일인 7월 31일을 기준으로 최근 6개월 동안 4개월분 이상의 당비를 납부한 당원, 올해 1월 말까지 가입한 만 16세 미만 예비당원에게 투표권이 있다. 결과는 투표 마지막 날인 9월 4일 정의당 중앙당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된다. 이번 비례대표 사퇴 권고 투표는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 등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정 전 수석대변인은 지난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대로 가면 우리는 비호감 정당이 아니라 '무존재'의 정당으로 갈 것"이라며 비례대표인 류호정·장혜영·강은미·배진교·이은주 의원이 일괄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번 당원 총투표는 권고안으로, 과반의 찬성이 나오더라도 구속력은 없다. 다만 가결 시 이들 비례대표 국회의원 5인이 느낄 압박감은 상당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16일 비상대책위원회 인선을 마무리하면서 마침내 '주호영 비대위'를 출범시켰다. 이준석 전 대표의 당대표 권한은 완전 박탈됐으며 문자 노출 등으로 거취 압박을 받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서 '재신임'을 받았다.국민의힘은 이날 국회에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고 비대위원 선임 안건을 의결했다. 상임전국위에 따르면 ARS로 진행된 찬반 투표 결과 재적 55명 중 42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35명에 반대 7명으로 가결됐다.국민의힘 비대위는 당연직 3명, 지명직 6명을 포함한 총 9명으로 구성된다. 당연직에는 주 위원장, 권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이 임명됐고, 지명직에는 엄태영 의원(초선·충북 제천시 단양군), 전주혜 의원(초선·비례)과 정양석 전 의원, 주기환 전 국민의힘 광주시장 후보, 최재민 강원도의원, 이소희 세종시의원이 이름을 올렸다.전국위원회 의장을 맡은 서병수 의원은 인선안 가결 이후 "이제 정식으로 비대위가 출범하게 됐고, 이 시각 이후 과거의 최고위는 당헌·당규에 따라 해산한다"며 "따라서 비대위원장이 당대표의 권한과 직위를 갖게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고 못 박았다.그간 당 일각에서는 비대위 출범의 근거가 된 '비상 상황'에 책임이 있는 권 원내대표의 당연직 비대위원 배제 및 원내대표직 사퇴 등 거취 압박 여론이 일었다. 하지만 이날 의총에서 권 원내대표는 다수 의원으로부터 재신임을 받는 데 성공하면서 당연직 비대위원을 맡게 됐다. 권 원내대표는 취재진에 "의원님들께서 다시 일할 기회를 주셔서 감사드리고 어깨가 무겁다"고 했다.권 원내대표의 재신임 소식이 알려지자 이 전
3선 7명, 국회서 긴급 간담회…이원욱 "오이밭에서 신발 고쳐신지 말아야"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기소 시 당직 정지' 당헌 개정 문제와 관련해 16일 일부 3선 의원들이 반대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3선 의원 7명은 이날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지금 이 논의가 이뤄지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이원욱 의원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 의원은 "(7명 가운데) 일부 개정이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낸 사람이 1명이었고, 나머지는 지금 현 상태에서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일부 개정 의견의 경우는 '정치자금 수수 등'으로 당직 정지 요건을 적시한 현행 당헌을 '중대한 정치자금법 위반' 등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이 의원은 설명했다. 앞서 이날 민주당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는 '부정부패 관련 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당직자의 직무를 기소와 동시에 정지할 수 있다'는 내용의 당헌 제80조 1항을 '하급심에서 금고 이상의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로 수정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의결했다. 윤석열 정부의 '정치보복 수사'에 악용될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는 의도이지만, 당내 일각에서는 집중적인 검·경 수사에 노출된 이재명 당 대표 후보를 지키려는 '방탄용'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전준위의 의결안은 오는 17일 비대위와 당무위, 중앙위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이날 간담회는 이 안건을 비대위가 논의하기에 앞서 반대 의견을 규합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 의원은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말라)"라며 "일부 개정 필요성이 있다고 해도 지금 논의하는 것은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