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대한 국회의 본격 심사가 시작된 17일 정부안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으며 대대적인 '칼질'을 예고했다.
민주당 김성환 정책위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추경안의 지출구조조정 항목을 보면 1조580억원의 국방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며 "가만히 있던 국방부 청사를 사방으로 이전시키더니 지출구조조정의 23%를 국방예산에서 빼다 쓰며 안보에 더 큰 구멍을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추경안의 취지와 달리 병사 급식비 인상이 들어간 것은 (장병 월급) 200만원 즉시 지급이 불가능한 것에 대한 '이대남 달래기'로 보인다"며 "군 급식비 예산은 올리고 국방 예산은 삭감하는 아이러니를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이동주 의원은 "손실보상 예산을 54조원으로 한도액을 설정하고, 600만원 방역지원금을 손실보전금이라는 말장난으로 눙치려 한다"며 "배드뱅크는 백지화됐고 한국형 반값 임대료 프로젝트인 '임대료 나눔제'는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출범하자마자 민생을 내팽개치는 윤석열 정부는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며 "추경 심사에서 중기업 기준 확대, 손실보상 하한액 상향 등에 추가 세수를 반드시 반영해 증액하겠다"고 밝혔다.
송기헌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MBC 라디오에서 "농어민에 대한 지원금이 빠진 부분이 아쉽고, 국방예산을 1조원 넘게 삭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지속해야 하는 서민 주택금융까지 손 대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53조원의 초과 세수에 관한 의구심도 거듭 표출했다.
송 부의장은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기재부가 자신들의 입장을 좀 더 살피기 위해 그런 것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며 "저희는 초과 세수에 대해 신뢰를 못 하겠다.
'가불 추경'일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고 말했다.
이동주 의원도 "재정건전성 운운하더니 기획재정부에 '금 나와라 뚝딱' 두드리면 세금이 떨어지는 방망이가 있느냐"며 "세 차례 역대급 세수 추계 오차가 발생했는데 고의적인 것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우상호 "결국 타깃은 문前대통령"…정치보복 TF 활동 강화할듯홍장표 거취 언급 한총리 고발도 검토 더불어민주당이 박지원·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 대한 국정원의 고발 등을 '정치보복'으로 규정하고 대응 수위를 올릴 전망이다. 여권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 등을 이용, 사실과 다른 공세를 펴고 있는 만큼 마냥 수세에 몰리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게 민주당 측의 주장이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7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나와 국정원의 고발을 두고 "제정신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우 위원장은 "전 세계 어느 정보기관이 전직 수장을 고발하는가"라며 "검찰, 경찰, 국정원 등 권력기관이 완전히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민주당은 여권의 이 같은 움직임에는 사실상 윤석열 정권이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코너에 몰리는 상황을 타개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음주운전 등 장관 후보자 부적격 시비를 비롯해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해외 방문에 대통령실 인사비서관 부인이 동행해 논란이 빚어지는 등 정권의 위기를 문재인 정권으로 시선을 돌려 국면을 전환하려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우 위원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결국 타깃은 문 전 대통령 아닌가'라는 물음에 "그렇다"라며 "국정원이 이전 정권 인사들, 그 끝에는 문 전 대통령까지 물고 들어가겠다는 의도"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홍장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의 거취를 언급한 것 역시 사퇴를 강요한 것으로 보고 대응할 방침이다. 정부가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에게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라
국가재정전략회의 모두발언…"허리띠 졸라매라, 성역없는 고강도 지출구조조정"공공부문 자산 전수조사 방침…초중등-고등 재정불균형 개선 강조윤석열 대통령은 7일 "예산만 투입하면 저절로 경제가 성장하고 민생이 나아질 것이라는 그런 재정만능주의 환상에서 이제 벗어나야 한다"라고 말했다.윤 대통령은 이날 충북대학교에서 개최한 국가재정전략회의 모두발언에서 "당면한 민생 현안과 재정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부터 솔선해서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그러면서 "공공부문의 자산을 전수조사해 기관 보유의 기능과 연관성이 낮은 자산부터 적정 수준으로 매각·처분해야 한다"며 "공무원의 정원과 보수도 엄격한 기준으로 운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윤 대통령은 "재정이 민간과 시장의 영역을 침범하고 성장을 제약하지 않았는지 이른바 '구축 효과'가 작동하지 않았는지도 면밀하게 살펴볼 때가 됐다"며 "정부는 성역 없는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으로 혈세가 허투루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윤 대통령은 "위기 때마다 우리나라 재정은 경제의 방파제 역할을 해왔는데, 그 탄탄했던 재정이 국가신인도의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지적받을 상황이 됐다"면서 "지난 5년간 재정 상황이 크게 악화했다.국가채무 증가 규모와 속도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이같은 언급은 전임 문재인 정부 5년간 과도한 확장재정 기조 탓에 재정건전성이 악화하는 부작용만 초래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동시에 향후 5년간 긴축재정으로 돌아서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지출 구조조정으로 마
내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규탄 기자회견 더불어민주당은 7일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해외 순방에 대통령실 인사비서관 부인이 동행한 것과 윤 대통령의 친인척이 대통령실에 채용된 것을 "비선정치"로 규정하며 연일 공세를 이어갔다. 박주민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책조정회의에서 "공식 인사 절차를 거치지 않은 사람이 대통령과 가깝다는 이유로 공무를 담당하는 것을 흔히 비선정치라고 부른다"면서 "지금이라도 공식적인 사과를 하고 제2부속실을 만드는 등 절차를 갖추길 요구한다"고 말했다. 고민정 의원도 "대한민국이 오로지 대통령의 사적 인연으로 채워지고 있다"면서 "민간인이 1급 보안에 해당하는 대통령 동선, 일정, 장소를 공유받았음에도 보수를 받지 않으면 문제없다는 안이한 인식에 기가 찬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인사비서관, 의전비서관, 비서실장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윤석열 대통령 부부를 둘러싼 인사 논란을 '최순실 국정농단'에 빗대기도 했다. 윤건영 의원은 BBS 라디오에 출연해 "최순실 씨가 대통령 보고서에 대해 조언을 하지 않았나. 그게 바로 국정농단"이라며 "이분(인사비서관 부인)이 실질적인 행사와 의전을 도맡아 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말 그대로 비선"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인식 전환이 없으면 비슷한 사건이 일어날 수밖에 없고 지지율은 하락할 것"이라며 "국정운영, 공직, 공적 영역에 대한 기준을 망각한 것 아닌가 싶다"고 비난했다. 야권 원로인 유인태 전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지금 공과 사를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러다 국정농단이 일어난 것 아닌가. 최서원(최순실) 건에서 드러난 바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