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4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요청안을 국회에 송부했다.
인사청문요청안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본인과 배우자, 아들과 딸 재산으로 총 160억8천290만원을 신고했다.
이 후보자 본인 명의의 예금이 117억9천12만원에 달했고, 기타 채권·회사채도 16억9천127만원을 기록했다.
배우자는 4억4천399만원의 예금을 보유했다.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소유한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148.86㎡)는 지난해 기준 시가로 20억4천400만원 상당이었다.
본인 명의의 경남 합천군 합천읍 외곡리 논(1천826.8㎡)은 3천562만원으로 신고했다.
2013년식 BMW GT(1천600만원), 2015년식 BMW X3(1천764만원) 등 수입차 2대를 본인 명의로 보유했다.
아들은 예금과 증권 등 2천873만원, 딸은 전세권과 예금 등 1천552만원의 재산을 각각 신고했다.
병역은 후보자 본인의 경우 1986년 당시 4급 보충역 판정을 받았다가 1989년 근시로 5급 전시근로역에 편입됐다.
아들은 미8군에서 복무하다가 2017년 5월 병장으로 만기 전역했다.
윤 당선인은 인사청문 요청사유서에서 이 후보자에 대해 "반도체·소자·회로 등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해 왔으며 300편 이상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고 90건 이상의 국내외 특허를 등록했으며 다수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우수 강의상, 2021년 서울대 훌륭한 공대 교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고 밝혔다.
"총선 승리는 안중에 없는 결정…폭력적 팬덤으로 쪼그라드는 길""이재명과 치열히 경쟁하는 꿈 꿔…'민주당의 민주화' 투쟁"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4일 자신의 전당대회 출마가 요건 불충족으로 무산되자 "민주당 지도부와 이재명 의원은 무엇이 두려운가"라며 반발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설마 제가 대표가 돼 기성 정치인을 다 퇴진시킬 것이라 생각하는 것은 아니리라 믿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전 위원장은 "비대위는 제 출마를 안건에 부치지도 않고 단순히 입장 표명 방식으로 결론을 내렸다"면서 "수많은 영입 인사를 당에 모시기 위해 만들어진 조항을 여성이자 청년, 당의 쇄신을 말한 사람에게 허용하지 않겠다는 선언"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 결정을 두고 "당의 외연 확장과 총선 승리는 안중에 없는 결정"이라며 "당 지도부는 다원주의에 기반한 대중정치를 포기하고 폭력적 팬덤 정치로 쪼그라드는 길을 선택했다"고 비난했다. 박 전 위원장은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를 거치며 쪼그라든 당의 지지기반으로는 총선도 대선도 힘들다고 봤다"면서 "이재명 의원과 (전당대회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대승적으로 결합하는 꿈을 꿨는데, 당은 한쪽 날개만으로 날겠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재명 상임고문을 향해서도 날을 세웠다. 박 전 위원장은 "대선에 뛰어든 것은 단순히 이재명을 위해서가 아니라 차별과 폭력에 시달리는 여성의 해방을 위함이었다"면서 "그래서 박완주 의원을 제명했고 최강욱 의원의 성희롱 발언을 징계해야 한다고 한 것인데, '처럼회'와 팬덤은 똘똘 뭉쳐 저를 공격했고 이재명 의원은 침묵했다"고 했다. 그는 "민
국회 사무를 총괄하는 국회 사무총장(장관급)에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거론되고 있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선출된 김진표 국회의장은 국회 사무총장에 박 전 장관을 포함한 후보군을 놓고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영선 전 장관은 17대 총선 이후 내리 당선된 4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지냈다. 지난해 4·7 보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시장에 도전했다가 오세훈 시장에게 패했고, 지난 대통령 선거 때에는 이재명 선대위에서 디지털대전환 위원장을 맡았다. 다만 박 전 장관이 사무총장직 제안을 최종 수락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국회의장 비서실장에는 박경미 전 청와대 대변인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변인은 홍익대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수 출신이다. /연합뉴스
'직장인 밥값 지원법'도 7월 임시국회 우선순위의장단 선출에도 상임위 구성 순항 여부에 달려 4일 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단을 합의 선출한 여야가 민생 입법 처리에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러나 법사위원장 자리 등을 놓고 상임위 구성에서 여야가 또다시 힘겨루기를 재연, 상임위 가동이 늦어질 경우 속도감 있는 민생 입법 추진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이날 선출된 김진표 국회의장이 "당면한 민생경제 위기에 긴급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국회 민생경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안하면서 특위를 통한 민생입법 처리 여부도 관전 포인트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고물가·고유가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유류세 인하 법안을 7월 임시국회 최우선 입법과제로 놓고 처리할 전망이다. 앞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휘발유와 경유 등 각종 유류에 적용하는 탄력세율의 범위를 50%로 확대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교통·에너지·환경세법을 개정해 유류세의 법정 인하 폭을 넓혀줘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은 현재 30%인 유류세 인하 폭을 50%로 확대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지난달 22일 대표발의했다. 민주당 김성환 정책위의장도 당 회의에서 "입법을 통해 (인하 폭을) 50% 정도까지 해야 기름값을 1천800원대로 낮출 수 있다"며 법 개정 의지를 밝혔다. 민주당 김민석 의원은 유류세 인하 폭을 최대 70%로 확대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이들 법안은 모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심사소위원회 심의 대상으로, 원 구성이 완료되는 대로 상임위 논의가 시작될 전망이다. 여야는 마찬가지로 고물가 대책인 '직장인 밥값 지원법' 추진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