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방역 언급 줄고 탄소중립·미래 언급
'평화'는 4차례, '남북'·'한반도'는 1차례씩…검찰개혁은 빠져
'위기' 33번, '경제' 32번, '회복' 27번…'대장동'은 없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중 마지막 예산안 시정연설에는 코로나 사태 등 국내외적 위기를 극복해내겠다는 강한 의지가 담겼다.

정치적 사안에 대한 언급을 대폭 줄이는 대신 위기를 기회로 만들겠다는 메시지가 강조됐다.

문 대통령이 25일 오전 내년도 예산안 설명을 위해 국회에서 한 시정연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위기'로, 총 33번 거론됐다.

문 대통령은 "임기 내내 국가적으로 위기의 연속이었다"라는 말로 연설을 시작해 정부 출범 초기 전쟁위기부터 코로나 위기, 전 세계적 기후 위기 등을 언급했고, 연설 말미에는 "위기 극복 정부로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강조했다.

'위기'는 지난해 시정연설에서도 28차례 나왔지만 올해는 '회복'(27번), '극복'(6번) 등과 함께 언급되며 회복과 미래로의 전환에 대한 의지가 더욱 선명하게 강조됐다.

두 번째로 많이 등장한 단어는 '경제'로, 32번 나왔다.

지난해 연설에는 43번으로 가장 많이 언급됐던 단어다.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세계 경제가 흔들리는 상황 속에 우리 경제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강조하는 동시에 코로나 사태로 피해를 본 업종·계층에 대한 지원과 고용 등 사회안전망 구축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와 '방역'은 각각 15번, 11번 언급돼 지난해 25번, 23번에 비해 줄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방역과 문화, 산업별 지원전략을 언급하며 한국의 우수성을 표현하는 'K-'를 12차례 사용하기도 했다.

또 '탄소중립'이 11번, '미래'가 10번, '뉴딜'이 8번 등장해 미래사회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청년'도 6차례 언급됐다.

다만 장기간 경색 국면이 계속되는 남북관계를 반영하듯 '평화'는 4차례, '남북' '한반도'는 단 한 차례씩 나오는 데 그쳤다.

지난해 시정연설에는 '평화'는 11차례, '한반도'는 7차례, '남북'은 1차례 언급됐다.

또 대장동 특혜 의혹 등 정쟁과 관련된 사안은 거론되지 않았고, 검찰·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 권력기관 개혁 이슈도 연설에서 아예 빠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