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수사'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3선 도전 적신호
'與 장악' 구청장·시의회 대선 결과 따라 재편 가능성

[※ 편집자 주 = 다음 달 1일이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옵니다.

내년 3월 대선에 이어 치러지게 될 6·1 지방선거는 차기 정부의 운영에도 영향을 주는 등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어 여야 모두 총력전을 펼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연합뉴스는 전국의 취재망을 총동원해 선거구별 쟁점과 출마 후보군, 전망 등을 총 17꼭지로 나눠 일괄 송고합니다.

]
[지방선거 D-1년] ①오세훈, 수성 의지…박영선 재도전 주목
지방선거를 1년 앞둔 시점이지만 보궐선거를 치른 지 두 달이 채 되지 않은 서울에서는 '차기' 논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오 시장은 지난 17일 취임 한 달 기자간담회에서 "임기 5년을 상정해서 2025년까지 재건축·재개발 신규 인허가로 24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면서 일찌감치 재선 도전 의지를 밝혔다.

그는 4월 7일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영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18.3%포인트라는 압도적 차이로 따돌리고 당선됐다.

이때까지만 해도 오 시장이 시장직을 발판 삼아 내년 대선에 도전장을 내밀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본인이 직접 '5년 구상'을 밝히면서 대선행(行) 전망은 수면 아래로 잦아들었다.

현재로서는 지난 보궐선거가 다음 지방선거와 시차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1+4년' 임기를 목표로 한 선거였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오 시장의 연임이 점쳐지는 상황에서 당장 차기 서울시장에 도전하겠다고 나서거나 도전이 예상되는 후보들의 하마평도 거의 없다.

다만 여권에서는 지난 보궐선거 기간 터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박영선 전 중소기업벤처부 장관이 '명예 회복'을 위한 도전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집권 여당 후보로서 LH 사태에 일종의 '연대 책임'을 지고 완패를 한 게 아니냐는 시선도 있는 만큼 다시 전열을 가다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소속 조은희 서초구청장 거취에도 관심이 쏠린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망 이후 일찌감치 보궐선거 도전 의사를 밝혔던 조 구청장은 국민의힘 후보 경선에서 선전하면서 몸집을 키웠다.

명료한 정부 비판과 대안 제시, 서초구에서 펼친 주민 밀착형 행정 등 자신만의 콘텐츠로 이름값이나 체급이 다른 거물 후보들과 경쟁하고 3위에 오르면서 확실한 눈도장을 찍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조 구청장 등 국민의힘 잠룡들은 당내 차기 대권 구도 형성을 먼저 지켜볼 공산이 크다.

야권 기대주로 꼽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잠행을 이어가는 가운데 윤 전 총장이 국민의힘에 합류하지 않을 경우 오 시장을 포함한 다른 잠재적 주자들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지방선거 D-1년] ①오세훈, 수성 의지…박영선 재도전 주목
서울시 교육감 자리는 현역 조희연 교육감의 3선 도전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조 교육감은 지난 3월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3선 도전과 관련해 "코로나19가 끝나지 않은 상황이고 과제가 산적해 있어서 논할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당시만 해도 일상적인 '겸손 발언'으로 이해됐지만, 최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조 교육감의 해직교사 부당 특별채용 의혹을 1호 사건으로 삼고 강제수사를 개시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교육계는 그동안 조 교육감의 3선 도전을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었으나 앞으로 공수처 수사 향방에 따라 전혀 다른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지방선거로 서울시 정치지형이 얼마나 바뀔지 역시 주요 관전 사항이다.

현재 서울 구청장 25개 자리 중 24곳을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했다.

서초구에서 버틴 조 구청장만 야당 소속이다.

노현송(강서), 유덕열(동대문), 이성(구로), 성장현(용산), 박겸수(강북), 이동진(도봉), 문석진(서대문), 김영종(종로) 구청장 등 8명은 현재 3기 연속 재임 중이라 다음 구청장 선거에 나설 수 없으므로 최소 3분의 1은 물갈이된다.

서울시의회는 의원 110명 가운데 무려 101명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나머지는 국민의힘 7명과 민생당·정의당 각 1명으로 분포했다.

일반적으로 기초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선거는 인물보다 정당 투표에 가깝다.

더욱이 내년 지방선거는 대통령 선거 한 달 후 치러지는 만큼 대선에서 나타난 민심이 그대로 옮아올 가능성도 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