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 청년 70% 헤이트 스피치 경험 "한국 이름 쓸 때 더해"
일본 정부가 헤이트 스피치(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차별·혐오 발언) 대책법을 제정한 지 5년이 지났지만 재일동포 청년들은 여전히 일상에서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일조선장학회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고등학교·대학(원)에 재학 중인 재일동포 장학생 1천497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조선인 학생의 차별 경험에 관한 의식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70%가 인터넷이나 거리에서 우익의 헤이트 스피치에 당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30%가 주로 차별 언행을 들었고 40%는 공적 기관이나 주책 임차 등에서 차별 처우를 받았다고 응답했다.

온라인에서 헤이트 스피치를 접한 후 인터넷 사이트 이용을 중단한 경우가 30%에 이르며 대부분 불안과 공포를 느낀다고 답했다.

'한국식 이름을 쓸 때'가 17.8%, '한국·일본 이름 양쪽을 쓸 때'가 15%, '일본식 이름(통명·通名)을 쓸 때'가 7.3%인 것으로 드러나 민족 정체성이 알려졌을 때 차별을 더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당수 재일동포는 본명(本名·한국 이름)과 통명을 둘 다 갖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이름을 달리 쓰고 있다.

장학회 관계자는 "1980년대 이후 일본으로 건너온 신정주자는 대부분 본명을 사용하고 있지만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일본에서 살아온 구정주자나 귀화자 등은 대부분 통명을 써온 게 현실"이라며 "일본 사회의 재일동포 차별 부산물 중 하나가 통명"이라고 소개했다.

조사를 맡은 아케도 다카히로(明戶隆浩) 호세(法政)대 특임연구원과 조경호 릿교(立敎)대 사회학부 교수는 "대책법 제정 후 헤이트 스피치 피해 추이를 집계한 통계가 없기에 인권 침해 사례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며 "실태 파악을 위해 정기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