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정밀조사 결과 토대로 처리 방안 확정하기로
30년 된 광주 일곡지구 15만t 쓰레기 어쩌나…유해성 정밀 조사
광주 북구 일곡지구 근린공원에 묻힌 대규모 쓰레기 처리를 놓고 광주시가 고심하고 있다.

길게는 30년을 묵은 쓰레기를 파내야 할지, 묻어둬야 할지 결정에만 수년이 더 필요해 보이는 상황이다.

3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조만간 일곡지구 일대 환경 영향조사 결과를 토대로 주민 협의, 의사 결정 방침 등을 확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시는 환경 영향조사에 더해 별도 정밀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시민이 참여한 자문단 협의를 거쳐 조사 기관을 선정할 방침이다.

다자의 이해관계가 얽힌 만큼 조사 결과의 공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7월 시작된 환경 영향조사 과정에서도 시가 임의로 기관을 선정해 맞춤형 용역을 시행했다는 주민들의 불만이 나왔다.

환경 영향조사에서는 메탄가스 농도가 안정화 기준치인 5%를 넘는 5.9%로 측정됐다.

기준을 크게 넘지는 않지만, 관리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는 의미다.

시는 주민들을 자극하고, 불필요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조사 결과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시는 정밀조사를 통해 유해성을 엄밀히 판단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주민 의견을 물어 처리 방안을 결정하기로 했다.

유해성이 입증되면 600억∼1천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 나올 만큼 막대한 처리 비용이 필요해 이 일대에 택지를 조성한 LH와 책임 소재를 놓고 소송 등 분쟁도 예상된다.

수십 년 전 안일한 행정으로 막대한 혈세 낭비와 주민 불편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시 관계자는 "절차적 하자가 있으면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조금 느리더라도 절차를 제대로 밟아 처리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2018년 12월 과거 생활 쓰레기 매립지였던 일곡제3근린공원에 일곡 청소년문화의집 건립공사를 하던 중 지하 4∼11m 지점에서 수만t으로 추정되는 폐기물 매립 층이 발견돼 공사가 중단됐다.

불법 매립된 쓰레기의 양은 제2·제3 근린공원 부지에 약 15만t으로 추정된다.

1989∼1996년 일곡 택지지구 개발과정에서 나온 쓰레기를 당시 한국 토지개발공사(현 LH)가 매립했으며 광주시는 이를 묵인·방조했다는 비판이 일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