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 속 '일자리 지키기' 정부·노동자·기업 협력 강조
문대통령 "노동자, 우리사회 주류"…강기정 "노동자도 책임있는 입장이라는 취지"
대통령도, 총리도 "노동계 연대·협력"…사회적대화 참여 촉구(종합)
제130주년 노동절인 1일 문재인 대통령과 정세균 국무총리가 노동계를 향해 일제히 '연대와 협력'의 가치를 강조해 눈길을 끌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전례 없는 경제 위기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에 노동계도 동참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노동자는 이제 우리 사회의 주류이며, 주류로서 모든 삶을 위한 연대와 협력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경제가 상생으로 활력을 찾고 희망을 만들어갈 수 있게 하겠다"고 언급했다.

정 총리도 SNS 메시지를 통해 "전대미문의 위기를 극복하는 유일한 길은 노사정이 함께하는 연대와 협력"이라며 "노사정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고 타협하면 코로나19 위기는 노사정 대화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정 총리의 메시지는 당장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화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의 이견으로 좀처럼 진전되지 못하는 상황을 짚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주노총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위기 대책 등을 논의할 '원포인트' 사회적 대화를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틀 밖에서 하자고 제안한 상태다.

민주노총은 '정부의 들러리'로 전락하는 상황 등을 우려해 경사노위에 불참하고 있다.

정부는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경사노위 밖에 사회적 대화의 장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한국노총은 경사노위 안에 위기 극복 방안을 논의할 특위를 설치하자고 한 데 이어 노사정을 넘어선 포괄적 대화의 장을 만들자고 하는 등 양대 노총의 이견으로 사회적 대화는 답보 상태다.

청와대로서는 모든 역량을 결집해 위기를 돌파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노동계를 이끄는 양대 노총이 각자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 태도가 아쉬울 수밖에 없다.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당시의 구조조정 방식에 선을 긋고 '고용을 유지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밝혔는데도 노동계가 대화를 외면, 위기 극복에 필요한 역량 결집이 늦어지는 것은 적잖이 부담스럽다.

또한 '고용 유지'를 위해서는 사측의 노력 못지않게 노측의 협조가 절실하다고 보고 있다.

문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서울 워커힐호텔을 찾아 개최한 '코로나19 극복 고용 유지 간담회'에서 호텔업 노사의 공동협약을 높게 평가한 것 역시 노사 양측에 함께 보내는 메시지로 읽혔다.

문 대통령이 노동계를 '주류'라고 표현한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를 두고 서울 용산구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세미나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노동자도 이제 더 책임 있는 입장에 있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현 정부 출범 후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근무제 등으로 과거보다 노동자의 권익이 향상된 만큼 경제 위기 극복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뜻을 담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노동계를 향해 '경제 위기, 나아가 고용 한파에 함께 대비하자'는 문 대통령과 정부의 목소리가 커질지 주목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에 동참한 노동계의 눈치를 본다는 뜻을 담아 야권이 '촛불 청구서를 받아든 정권'이라고 비난할 때도 청와대와 정부는 지속해서 노동계에 대화의 손길을 내밀어 왔다.

고용안정 특별대책 등을 수립하며 노동계를 향한 전폭적 지원을 약속한 문 대통령이 노동절을 맞아 다시 한번 내놓은 상생 제안에 노동계가 호응할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