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금섭 경기도 자치행정과장 "현재 18곳에서 2022년까지 110곳 확대"

"행정이 잘 안 닿는 사각지대를 보완하려고 시작한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인 '행복마을 관리소'를 2022년까지 110곳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경기도가 추진하는 행복마을 관리소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권금섭 자치행정과장은 27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행복마을 관리소가 주민 안전부터 각종 생활 불편사항을 개선하는 동네 지킴이자 택배 보관, 공구 대여 등을 하는 통합 심부름꾼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렇게 설명했다.

[발언대] "행복마을관리소, 구도심 등 주거취약지 생활불편 해소에 역점"
간단한 집수리 요청이 들어오면 품이 많이 들지 않는 방충망 설치나 수도꼭지·변기·전구·보온 에어캡(비닐 뽁뽁이) 교체 등을 해주는 것은 물론, 직접 처리하기 어려운 신고 사항은 민간단체나 유관 기관으로 연계해 해결방안을 찾도록 돕는다는 것이다.

행복마을 관리소는 2018년 11월 5곳으로 시작해 현재 18곳으로 늘었다.

2022년 110곳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혼자 사는 노인들 말벗도 해드리는데 이런 건 수치로 집계가 안 돼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지역 특화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어 서비스 제공 분야가 갈수록 확대될 겁니다"
경기도는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갖추도록 재정 자립, 효율적인 운영 방안 등을 고민하고 있다.

한 곳당 연간 운영비는 4억원 정도로 도와 시군이 절반씩 분담한다.

[발언대] "행복마을관리소, 구도심 등 주거취약지 생활불편 해소에 역점"
권 과장은 "사업비 전액을 공공영역에서 언제까지 부담할 수 있을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어 이런저런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지방자치법이 개정되면 읍면동별로 주민자치회가 만들어지는데 여기에서 행복마을 관리소를 위탁운영 하는 방안을 행정안전부에 제안했다"며 계속 협의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개정되는 법규 안에서 주민자치회의 첫 사업 모델로 맡아 운영하면 주민 스스로 마을을 가꾼다는 자부심이 생기고 주민 참여도 더 끌어낼 수 있어 주민 주도형 공공서비스 모델로 정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권 과장은 "주민, 시군과 머리를 맞대 서비스를 더 확대하고 취약점은 보완해 나가겠다"며 "침체한 주민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자치복지 모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