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TV가 공개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간부들의 현지 지도 모습. 연합뉴스
조선중앙TV가 공개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간부들의 현지 지도 모습.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중 수교 70주년인 오는 6일을 전후해 중국을 방문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지만 우리 외교당국은 방중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1일 기자들과 만나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 여부와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외교당국은 김 위원장이 당장은 방중하지 않을 것이라는데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이 특별한 사전 동향을 보이지 않다가 갑자기 방중할 가능성도 있지만, 이번에는 그럴 가능성도 작다는 게 외교 당국의 판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정부가 중국 측으로부터 외교경로를 통해 관련 동향을 공유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유엔총회를 계기로 미국 뉴욕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만나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는데 이때 관련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

김 위원장의 10월 초 방중 가능성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6월 전격 방북했을 때부터 흘러나왔다. 왕이 외교부장의 지난달 초 방북을 두고도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 초청을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많았다. 이어 국가정보원이 지난달 24일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5번째로 방중해서 북·중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며 "북·중 수교일인 10월 6일을 전후해 가능성이 점쳐진다"고 밝히면서 김 위원장의 방중은 시간문제인 것처럼 여겨졌지만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북미 간에 비핵화 실무협상 재개가 늦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을 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과거 1·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방중해 시진핑 주석과 일종의 '작전타임'을 가졌는데, 미국과의 협상 재개가 늦어지다 보니 방중할 타이밍이 아니라고 봤을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북미 정상회담도 아니고 실무협상 개최 일정과 북·중 정상회담을 연관 짓는 것은 무리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3차 북미 정상회담이 가시화하는 등 보다 결정적 계기에 북중정상간 교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외교 소식통은 "국정원 보고는 그야말로 가능성 차원이었던 것 같다"면서 "김 위원장이 애초부터 방중할 계획은 없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한편에선 중국이 10월에 정치 일정이 많은 데다 미국과의 고위급 무역 협상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애초에 김정은 위원장을 맞을 분위기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