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TF 참여 뒤 작년 국립외교원장으로 발탁…8개월 만에 1차관으로 옮겨
정부의 한일관계 개선 의지 분석…'외교부 순혈주의' 타파에도 적극 나설듯
외교 1차관에 '일본통' 조세영…꼬인 한일관계 풀 구원투수
조세영 신임 외교부 1차관은 한일 위안부합의 검증에도 참여한 정부 내 대표적인 '일본통'이다.

주일대사관에서 2등 서기관, 경제과장, 공사참사관 등으로 3차례 근무했고 본부에서도 동북아통상과장과 동북아국장을 맡는 등 대일 업무를 담당하는 주요 자리를 두루 거쳤다.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 재임 시절에는 대통령의 일본어 통역을 맡았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2년 한일 정보보호협정 밀실처리 파문에 따른 문책성 인사로 동북아국장직에서 물러났고, 이듬해 외교부에서 퇴직했다.

이후 동서대에서 특임교수로 후학 양성을 하다가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뒤 꾸려진 외교장관 직속 '한일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에 부위원장으로 참여했고 지난해 9월 차관급인 국립외교원장으로 발탁됐다.

이어 8개월만에 주로 양자외교를 챙기는 제1차관으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대일 외교 최고의 전문가로 꼽히는 조세영 원장의 1차관 기용은 지난해 10월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이후 꼬일 대로 꼬인 한일관계를 풀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평가된다.

조 신임 차관은 외교원장이던 지난해 12월 기자들과 만나 강제징용 배상판결을 둘러싼 한일갈등과 관련, "완벽하지 않은 틀이라도 틀이 존재한다는 현실은 인정하고 그 토대 위에 서서 그것으로 커버되지 않은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을 고민하는 게 정도(正道)"라고 말했다.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틀'은 인정하면서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의미다.

조 신임 1차관은 또한 조직의 개방성이 중요하다며 "외교부 실·국장의 3분의 1은 다른 곳에서 와야 한다"고 밝히기도 해 '외교부 순혈주의'를 타파하는 데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외교부 내 일본통을 뜻하는 '재팬 스쿨'의 외교 차관 기용은 박석환(2011∼2012년) 전 차관 이후 7년 만이다.

최근 외교부 내에선 유독 굴곡이 심한 대일업무에 대한 기피 현상도 없지 않은데, '재팬 스쿨'의 차관 기용으로 이런 분위기에 변화가 있을지도 주목된다.

▲서울(58) ▲신일고-고려대 법학과 ▲외무고시 18회 ▲주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주일본대사관 공사참사관 ▲외교통상부 동북아국장 ▲동서대 국제학부 특임교수 겸 일본연구센터 소장 ▲외교부 국립외교원 원장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