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값 자극 원치 않아"…'시장 안정'으로 정책 전환
'도시재생 뉴딜 배제' 서울시 "부동산시장 안정 때 대형사업"
정부가 집값이 불안한 서울을 대규모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 선정에서 배제한 가운데 서울시는 "부동산값 자극을 원치 않는다"며 "정부 정책에 발맞춰 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여의도·용산 개발계획 전면 보류를 발표한 이후 한발 물러서 정책의 초점을 '부동산값 안정'으로 전환하는 모습이다.

31일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선정된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 99곳 중 서울은 일반근린형 2곳과 주거지지원형 3곳, 우리동네살리기 2곳 등 소규모 사업지 7곳만 포함됐다.

이들 사업은 마을에 주차장과 소형 도서관 등 공용시설을 만들고 골목길 정비, 소규모 재건축을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내용으로 사업 규모가 크지 않다.

서울시는 쇠퇴한 도심 기능을 살리면서 지역 경제에 활력을 주기 위한 20만㎡ 이상 대형 사업 선정에 동대문구 장안평 차 시장, 종로구 세운상가, 금천구 독산동 우시장을 후보지로 올렸으나 모두 도시재생 뉴딜 대상지에서 빠졌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부동산값을 자극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아쉽지만 결과를 받아들인다"며 "장안평 차 시장, 세운상가의 경우 이번에 투기과열지역으로 추가된 동대문구·종로구에 있기에 '부동산값 안정'이라는 정부 정책에 발을 맞춰 가려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기존에 장안평 차시장, 세운상가, 독산동 우시장에서 진행하던 자체 도시재생 사업은 계속해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사업에 이미 250억원가량을 투자했다.

다만 국비 지원을 받아 시유지나 국공유지에 지역에 활기를 줄 수 있는 청년창업시설, 청년 주택, 앵커시설(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심시설) 등을 짓는 일은 추진이 늦어지게 됐다.

앞서 서울시는 부동산값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로 올해 주거지 재생사업 대상자 선정을 유보하기도 했다.

서울형 도시재생은 공원, 주차장 등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사업이다.

전면 철거하고 다시 짓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 주거지를 보전한다.

시는 이번에 주거지를 대상으로 하는 '근린생활형 일반형' 주거지 재생 사업지를 선정해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었으나 선정 시기를 늦췄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각종 개발·도시재생 사업 속도를 조절하기로 했으나 서울시 안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강북의 대세대·다가구 주택지를 재생하고 빈집을 매입해 저렴한 주택을 늘리는 데 더욱 힘써야 할 시기"라며 "지금은 어떤 정책을 말해도 부동산과 엮이기 때문에 부동산시장의 빠른 안정화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