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장차업계 활짝·인쇄업계 "SNS 위력에 예전만큼은…" 울상

지방선거란 장이 4년 만에 다시 섰다.

이번 6·13 지방선거에는 9천300여 명이 출사표를 던져 그야말로 큰판이 벌어졌다.

선거시장에서 풀리는 건 사람과 공약뿐만이 아니다.

어마어마한 돈이 풀린다.
4년 만에 돌아온 큰판… 선거 업계 '엇갈린 희비'
이 시장에는 특장차량 제작업체, 현수막 제작업체 등이 모여든다.

텅텅 빈 사무실은 선거 캠프로 사용되고 인쇄소는 기름칠한 윤전기를 돌린다.

'선거 홍보의 꽃'은 유세차다.

연설 공간이자 홍보 영상, 로고송을 틀어주면서 유권자에게 이름을 알릴 수 있는 최적화한 수단이다.
4년 만에 돌아온 큰판… 선거 업계 '엇갈린 희비'
이번 선거에서 상당수 업체는 유세 차량 제작의뢰를 다 소화하지 못하거나 약속날짜까지 제작하지 못할 정도로 즐거운 비명을 질렀다.

일부 업체는 제작공간이 모자라 주차장을 빌려 작업장으로 사용했다.

선거 차량 제작비용은 1∼2t 차량에 따라 1천만∼2천만원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 모 특장차 제작업체 대표는 "지난 지방선거 때는 선거 차량 40대를 제작했는데 이번 지방선거에는 60대를 제작했다"며 "후보들 수가 단일화 실패 등으로 감소하지 않은 탓인지 이번 선거에는 후보가 좀 많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50대가량 유세 차량을 주문 제작한 경남 한 특장차량 제작업체는 선거운동 첫날까지도 주문이 밀려들었지만 전부 소화하지 못했다.

부산 기초단체장 선거에 출마한 한 무소속 후보는 "1t 차량을 개조하는데 구의원 선거후보자들은 보통 1천200만원정도, 기초단체장은 2천만원 정도 되는 수준의 차를 주문한다"면서 "고작 13일간 선거운동에 쓰는 유세차 1대 하루 비용이 대당 100만원 넘어 특장차 업체들은 지방선거철이면 복권에 당첨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전북 전주시에서 시의원 선거에 출마한 한 후보는 "유세차를 빌리는데 2천여만원이 들었다"고 귀띔했다.

이 비용에는 개조비, 운전기사 인건비 등도 포함돼 있다.

각급 선거에 나선 후보가 워낙 많다 보니 선거유세용 1t 트럭도 일찌감치 동나 많은 후보가 해당 지역이 아닌 서울 등 수도권에 있는 업체에 차량 임대를 해야 할 정도다.

경북 한 광역단체장 후보 캠프 관계자는 "1t 트럭을 40대가량 빌렸는데 2주일 빌리는데 대당 2천만원 정도 든다"며 "지역에 트럭도 많지 않은 데다 일찌감치 동나 서울 업체의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세차 홍보 효과가 점차 줄어들면서 불필요한 전광판 등을 없애는 등 제작 단가를 낮추려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한다.

4년 전 지방선거와 비교하면 현수막 제작업체들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선거법 개정으로 이번 선거부터 현수막 설치 개수가 2배 늘고 장소 제한도 사라졌기 때문이다.
4년 만에 돌아온 큰판… 선거 업계 '엇갈린 희비'
반면, 홍보물 인쇄업체와 선거 용품 제작업체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발달로 울상이다.

광주·전남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높은 당 지지율을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당선 가능성이 작다고 판단,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출마자가 줄어들어 홍보물 주문이 줄어들었다.

일부는 오직 이름 알리기 전략으로 최소한의 홍보물을 제작했다.

후보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선거 홍보에 치중하면서 기존 명함 등의 홍보 비중이 줄어들기도 했다.

이들은 특히 규격과 개수 등이 제한적인 기존 홍보물과는 달리 별다른 규제가 없는 온라인 홍보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인쇄업계는 선거철마다 들어오던 명함 등 주문이 뜸해 예전 선거보다 20∼30% 물량이 줄었다고 울상을 지었다.

광주 서남동 한 인쇄업체 관계자는 "지난 대선과 총선 접수된 물량의 70∼80%에 불과하다.

선거철이 다가오는 이맘때쯤 인력을 보충할 정도로 눈코 뜰 새 없이 바빴지만, 올해 같은 불경기는 처음"이라고 토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