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 전까지 떠나야…북 원조·교육 활동 중단 위기
'북한 여행금지' 발효 코앞인데… 아직 남아있는 미국인 200명
오는 9월 1일부터 미국인의 북한 여행이 금지되는 가운데 여전히 북한에 남아있는 미국인들이 불투명한 미래를 걱정하고 있다.

현재 북한에 체류 중인 미국인은 200여명에 달하며 주로 원조, 교육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미 정부는 인도적 목적의 활동가 등에는 예외적으로 방북을 허용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로 방북 허가를 얻어 활동을 재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24일(현지시간) 보도에서 북한에 남아있는 미국인의 삶을 조명했다.

북에 체류하는 미국인은 나진·선봉 자유무역지대에서 사회기업 지원 및 인도적 활동을 하는 50여명, 북한 유일의 국제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의 교직원과 교수진 70여명 등이다.

이밖에 유진벨 재단, 유니세프, 월드비전 등과 같이 의료, 식량 원조를 제공하는 NGO(비정부기구)나 국제기구 등이 있다.

이들은 간접적으로 북한 정권 유지를 돕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북한과 외부세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는 반론도 있다.

빌 리처드슨 전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이들은 북한 주민들을 세심하게 보살피며 매우 헌신적으로 일하고 있다"며 "북한과 외교·무역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인도적 접촉은 관계 개선을 위한 가교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 미국인이 북한에서의 활동을 지속할 수 있을지는 확실치 않다.

미 국무부는 지난달 모든 미국 시민의 북한 여행 금지 조치를 승인하고, 북한에 체류 중인 미국인에게 조치가 발효되는 9월 1일 이전에 북한을 떠나도록 했다.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사망이 결정적인 계기였다.

웜비어는 작년 1월 관광차 방문한 북한에서 선전물을 훔치려 한 혐의로 체포돼 같은 해 3월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17개월간 억류됐다가 지난 6월 13일 전격 석방돼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의식불명 상태로 있다가 엿새 만에 사망했다.

웜비어를 포함해 북한에 구금됐던 미국인은 최소 17명으로, 아직도 3명이 북한에 억류돼 있다.

국무부는 언론인이나 인도주의적 목적의 방문, 국익 관련 목적 등의 경우에는 특별여권을 통해 방북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허용 기준은 알려지지 않았다.

20년간 북한에서 원조활동을 했던 글로벌 원조 재단의 프랭클린 그레이엄은 "국가 안보에 대한 국무부의 우려를 존중한다"면서도 "철수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우려했다.

일단 9월 초 새 학기를 시작할 예정인 평양과기대는 미국인을 제외한 교수진만 남기로 했다.

미국인 교직원은 8월 말까지 모두 귀국할 예정이다.

로버트 킹 전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이들의 활동은) 미국에는 정치적으로 유익하다"며 "고립된 세계에 있는 북한 주민들에게 미국의 이미지를 부드럽게 하고 외부세계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noma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