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정책 담고 공모도 활용하기로…약칭까지 고려해야
당헌·당규, 새누리당과 비슷할듯…"제정 아닌 실천이 문제"


새누리당을 빠져나온 개혁보수신당(가칭)이 본격적인 창당 작업에 들어갔다.

개혁보수신당은 원내대표단과 창당추진팀 진용을 갖춘 데 이어 28일 정강·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정강·정책은 당명(黨名) 제정으로 이어진다.

당이 추구하는 지향점과 가치가 정강·정책이라면, 이를 상징하는 게 당명과 로고다.

특히 당명은 신장개업 식당의 간판에 해당하는 만큼 대중에게 잘 각인되면서도 자칫 '놀림'받을 소지를 줄이는 한편, 언론에서 쓰일 약칭까지 고려해야 한다.

김영우 전략기획팀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강·정책을 녹여내면서 부르기 쉽고, 언론 친화적인 약칭이 나오는 방향으로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격동의 현대사를 반영하듯이 숱한 당명이 '명멸'했던 여야 정당의 개명사(改名史)는 신당에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다.

'뜻 좋은 한자어'를 이리저리 조합한데 이어 순우리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생겨났지만, 지속적인 사랑을 받는 '성공작'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는 게 중평이다.

일례로 '신한국→한나라→새누리'로 이어지면서 당이 스캔들에 휩싸일 경우 '한'과 '새' 대신 비아냥거림이 섞인 다른 말이 앞에 붙어 곤혹스러운 처지가 되곤 했다.

옛 열린우리당 역시 약칭이 '우리당'으로 불린 경우는 거의 없었고, '열우당'이나 '열당' 등 비하하는 의미의 약칭으로 공격 대상이 된 경우가 많았다.

개혁보수신당도 줄여 부를 경우 보신탕을 연상케 하는 '개보신당' 또는 '개보당'이 된다는 주변의 지적을 염두에 두고 작명에 심혈을 기울일 계획이다.

정통 야당의 상징어인 '민주당'은 과거 야권통합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어떤 형태로든 활용되다가 사라지고, 또다시 등장하는 부침을 겪고 있는 경우다.

개혁보수신당은 고민 끝에 작명의 바탕이 될 정강·정책 마련에 일단 주력하면서 동시에 당명·로고 공모도 진행하기로 했다.

정강·정책에선 신당의 가칭이기도 한 '개혁'과 '보수'를 뼈대로 삼으면서, 신당의 외연을 넓힐 수 있는 개념을 찾고 있다.

창당추진팀이 정강·정책의 가안을 만들어 발표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안을 만들겠다고 정병국 창당추진위원장은 밝혔다.

유승민 의원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경제와 안보'의 두 축에서 각각 개혁과 보수의 가치를 구현하는 게 정강·정책에 담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 분야에선 빈곤과 양극화로 붕괴한 공동체를 되살리는 '공화(共和)'와 함께 서민·중산층의 민생을 우선순위에 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헌법을 지키는 보수", "공동체를 지키는 보수", "국가 안보를 지키는 보수"를 제시했다.

이종구 정책위의장은 이날 정강·정책 토론회에서 '깨끗하고 따뜻한 보수'를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작명의 어려움은 기존 정당은 물론 과거 정당과도 차별화하는 데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정당은 28개, 창당 준비 중인 정당은 10개다.

일각에서 특정 종교단체를 연상케 한다는 지적을 받는 새누리당은 물론 더불어민주당이나 국민의당 등에 들어간 표현도 배제하지 않을 수 없다.

당의 체계와 운영 방식을 규정하는 당헌·당규는 새누리당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애초 새누리당 당헌·당규를 따르던 의원들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당헌·당규나 정강·정책을 그럴싸하게 만드는 것보다 이를 제대로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도 토론회에서 나왔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정강·정책이 부족하거나 잘못돼서 정당이 실패한 게 아니고, 이를 지키려는 책임성과 도덕성이 부족했던 게 실패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정병국 창당추진위원장도 "정강·정책을 아무리 잘 만들고 강령을 만들어도 그것을 실천하지 않은 결과가 오늘날의 새누리당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현혜란 기자 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