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미사일로만 '대량응징보복' 한계…평양 상공서 정밀타격"

군 당국이 유사시 탄도미사일로만 북한 정권에 대한 '대량응징보복(KMPR)' 작전을 수행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판단, 평양 상공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등 지휘부를 정밀타격하기 위해 F-35A 20대를 장기소요로 추가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이같은 입장은 북한이 핵무기를 사용할 징후가 포착되면 평양의 일정 구역을 초토화하는 KMPR 작전의 한계를 F-35A 스텔스 전투기로 메꿔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12일 "차기전투기(F-35A급) 20대를 추가 확보하는 계획은 여전히 살아 있다"면서 "북한의 5차 핵실험으로 안보환경이 급변한 만큼 F-35A 20대를 추가 구매하는 방안을 군이 장기소요로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이 실전 배치한 현무 계열의 탄도미사일을 이용해 북한이 유사시 핵무기 사용 의지를 꺾지 않으면 대량응징보복 작전을 펼 수 있지만, 정밀타격 한계성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우리 군은 북한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라 기존 정밀타격계획을 대폭 보완 중"이라고 말했다.

이런 정밀타격계획에 F-35A를 추가 구매하는 것을 장기소요로 군이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평양 일대가 4중의 다중 방공망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F-35A급 스텔스 전투기가 아니면 이를 뚫을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2013년 합동참모회의에서 F-35A 60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나 가용재원을 고려해 40대를 먼저 구매키로 최종 결정했으며, 나머지 20대는 안보환경 변화를 고려해 추가 확보하기로 한 바 있다.

F-35A 40대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도입되어 작전 배치될 예정이다.

이 전투기는 내부 무장창에 GBU-31 JADAM 공대지 2발, AIM-120C 공대공 2발 등 미사일 4발을 탑재한다.

무장력이 약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평양 일대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고 침투해 지휘부를 타격하는 장점이 있다.

북한군도 최근 F-35A 침투에 대비해 레이더체계를 외국에서 구매하는 한편 지속적인 성능개량으로 저피탐, 광대역, 주파수 도약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것으로 군은 파악하고 있다.

여기에다 한미 연합 공군전력 저지를 위해 평양 일대에 4중의 방공체계를 구축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사거리 260~300㎞인 SA-5(Gammon) 지대공미사일 40여 기를 평양과 최근접 지역에 배치했다.

이어 최대사거리 48㎞의 SA-2(Guideline)와 35㎞의 SA-3(Goa), 4㎞의 SA-7, 4.5㎞의 SA-16, 5㎞의 SA-18과 AA-11 등의 지대공미사일, 고사포 등으로 겹겹이 평양을 감싸고 있다.

북한은 2000년부터 이들 대공미사일의 수량을 기종에 따라 최대 20배 이상 늘려 생산 배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이영재 기자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