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개념도까지 동원해 사드 방어체계 설명…안전 우려도 적극 설명
朴대통령 "여야에 협력 구하겠다…지원방안 찾아 성주주민 보답"
靑 "잘못된 선전으로 국론분열·남남갈등 안돼"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주한미군 배치 결정과 관련해 관련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주한미군 배치 결정과 관련해 관련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연합뉴스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성주 배치 결정을 놓고 지역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면서 정치권 안팎에서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정쟁 중단'을 호소하며 정면돌파에 나섰다.

박 대통령은 몽골에서 열리는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Summit) 참석을 위한 출국을 앞두고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해 소집하고 "오늘날 대한민국의 안보는 커다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정치권과 국민에게 단합을 강력하게 호소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지금은 사드 배치와 관련된 불필요한 논쟁을 멈출 때"라면서 "이해당사자 간에 충돌과 반목으로 정쟁이 나서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잃어버린다면 더이상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강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에 사드를 배치키로 결정한 이후 박 대통령이 사드를 언급한 것은 지난 11일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특히 이번 메시지는 국방부가 사드 배치 지역을 경북 성주로 발표한 지 하루만에 나온 것으로 "제3국을 겨냥하거나 제3국의 안보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다"며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을 무마하는데 초점을 맞췄던 11일 발언과 달리 국내 논란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비중을 뒀다는 특징이 있다.

박 대통령이 국가의 존립문제까지 거론하면서 정쟁 중단을 호소한 것은 사드를 둘러싼 국내 논란과 갈등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방부가 전날 경북 성주를 사드 배치 지역으로 공식 발표한 이후 지역 주민들이 결정 과정 등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거세게 반발하는 것과 맞물려 정치권에서의 사드 논란도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의 말씀은 남남갈등이 일어나지 않고 국론 결집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는 것"이라며 "일부 세력의 잘못된 선전이 국론분열을 노리고 남남갈등을 야기하는 그런 흐름에 대해 '누구를 위한 것이냐'는 톤으로 이야기한 것"이라고 전했다.

정치권의 사드 논란과 관련, 박 대통령은 이날 "여야 지도부를 포함해 의원들의 관심과 의견을 광범위 하게 수렴하면서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을 위한 협력을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14~18일 진행되는 몽골 방문 이후에도 사드 논란이 계속될 경우 박 대통령이 직접 여야와 접촉하면서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한 초당적 협조를 당부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은 사드 논란과 관련, 국론 단합 호소와 함께 경북 성주 배치의 군사적 필요성도 직접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NSC에서 미사일 방어개념도를 옆에 세워놓고 직접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사드가 성주 기지에 배치되면 중부 이남 대부분의 지역을 방어할 수 있는 큰 원이 생긴다"며 "수도권을 방어하는데 적합한 패트리엇 전력을 일부 수도권으로 재배치할 수도 있어서 현재 수도권 방어 능력이 크게 강화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사드 안전성을 강조하면서 경북 성주에 대한 보답도 약속, 지역 주민들의 대승적 수용을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사드 레이더는 마을보다 한 400m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그곳에서도 5도 각도 위로 발사가 되기 때문에 지상 약 700m 위로 전자파가 지나가게 된다"며 "따라서 그 아래 지역은 전혀 우려할 필요가 없는, 오히려 우려한다는 것이 이상할 정도로 안전한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또 "인체나 농작물에 전혀 피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국가 안위를 위해 지역을 할애해준 주민에게 보답해야 한다"면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원방안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사드 배치를 전제로 경북 성주의 숙원사업 해결 등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원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강병철 기자 solec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