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공식방문도 진행…한·몽골 정상회담서 북핵·경제협력 논의 전망
中 리커창·日 아베 참석 전망…EU·유럽 주요국 정상과 만남도 주목

박근혜 대통령은 제11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Summit) 참석과 몽골 공식 방문차 14∼18일 몽골 울란바토르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청와대가 4일 밝혔다.

올해로 출범 20년을 맞는 ASEM은 아시아와 유럽 주요국 정상 및 정부 수반이 참여하는 유일한 다자 협의체로, 이번 정상회의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결정(브렉시트) 이후에 열린다는 점에서 브렉시트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朴대통령, ASEM서 브렉시트 공동대응 모색…북핵 협조 당부 = 박 대통령은 우선 15∼16일 'ASEM 20주년 : 연계성을 통한 미래 파트너십'을 주제로 진행되는 ASEM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아시아·유럽간 연계성을 높이는 방안 등에 대한 우리 정부의 비전을 설명할 예정이다.

또 아시아와 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북한 비핵화를 이루기 위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지지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ASEM은 아시아·유럽 관계 강화를 위해 1996년 창설됐으며, 현재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아세안 10개국 등 아시아 22개국과 EU 회원국 28개국, 아세안 사무국과 EU 대외관계청 등 53개 국가·지역협의체가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ASEM 구성을 감안할 때 참석 정상 간에 브렉시트로 촉발된 경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경제·금융시장을 안정하기 위한 공동대응을 비롯해 아시아·유럽 간 경제 협력 문제 등 브렉시트에 대한 대응에 대한 논의가 회의장 안팎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EU 역시 ASEM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과 EU측간 만남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각국 대표가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은 가운데 EU에서는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올 것으로 전망된다.

또 독일에서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EU 국가 정상과 박 대통령 간 조우도 예상된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중국, 일본에서는 각각 리커창(李克强)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참석할 것으로 전해져 이들 정상과 박 대통령간 조우도 관심이다.

다만 이번 ASEM 정상회의에서 한중·한일 정상간 별도 회동은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자원부국' 몽골과 양자회담…북핵 협조 등 포괄적 동반자 관계 강화 = 박 대통령은 ASEM 정상회의 이후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의 초청으로 17∼18일 몽골 공식방문 일정을 진행한다.

우리 대통령으로는 5년 만인 이번 방문을 통해 박 대통령은 몽골과의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할 방침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5월 공식 방한했던 엘벡도르지 대통령과 2개월 만에 다시 만나 ▲에너지 신산업, 보건 등 신규협력 분야 발굴 ▲우리 기업의 에너지·인프라 건설 참여 등 호혜적 실질협력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 개발협력 및 인적·문화교류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몽골은 매장량 기준으로 구리 세계 2위, 석탄 세계 4위의 자원부국이다.

박 대통령은 또 정상회담에서 북핵·북한 문제 등 지역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북핵·북한 문제에 대한 상호 협력 강화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지난 5월 청와대에서 진행된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지지 입장을 재확인하고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지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는 앞서 2013년 10월 방북시 김일성대학교 강연에서 "어떤 독재도 영원할 수 없다"면서 북한 체제를 비판하기도 했다.

한·몽골 정상은 회담 이후 양해각서(MOU) 서명식을 지켜본 뒤 공동기자회견 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이번 몽골 양자 방문시 동포간담회, 한·몽골 비즈니스포럼 등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청와대는 "몽골은 1990년 민주화 혁명을 통해 아시아 내 사회주의 국가 중 최초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로의 체제 전환과 개혁·개방에 성공한 국가"라면서 "몽골 방문은 양국 호혜적 협력관계 발전의 모멘텀을 더욱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solec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