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위·법사위·안행위·기재위·미방위·교문위·정보위
대선 앞두고 폭발력 있는 이슈·경제정책·주요기관 둔 상임위들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20대 국회의 각 상임위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이슈 파이팅이 전개될 전망이다.

이런 이유로 여야가 상임위원장직을 포함해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으려 하는 핵심 상임위들이 어디인지에 정치권의 눈길이 쏠린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가 특히 20대 국회 원(院) 구성 때 치열한 각축을 벌일 걸로 예상되는 곳은 각각 법안들의 '입구'와 '출구'로 통하는 국회운영위와 법제사법위를 비롯, 안전행정위·기획재정위·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교육문화체육관광위·정보위 등 7개 상임위다.

이들 상임위는 '세월호 특별검사'나 '어버이연합' 등 휘발성이 강한 이슈가 걸려 있거나 대선을 앞두고 영향력 싸움에서 밀려선 안 될 소관 기관들을 뒀다는 점에서 여야가 주도권 사수에 팔을 걷어붙일 것으로 보인다.

먼저 법사위의 경우 세월호 특검 관련 이슈가 계속 이어질 걸로 예상된다.

세월호특별법상 특검을 실시하려면 세월호 특검 요청안이 법사위에서 먼저 처리된 뒤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야 하는데, 당장 지난달 28일에도 법사위에서는 이 요청안 상정 문제를 두고 여야가 설전을 벌인 바 있다.

특히 새누리당은 19대 국회 때 본회의로 가는 '마지막 관문'인 법사위의 의사봉을 야당이 잡았기 때문에 쟁점 법안을 처리할 때마다 애를 먹었던 학습효과가 있는 만큼, 20대 국회 때는 법사위 주도권을 가져와야 한다는 의견이 당내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야당 입장에서 호락호락 법사위를 내줄 리는 없어 보인다.

야당이 어버이연합에 대한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자금 지원 의혹 규명 문제를 적극적으로 들고나옴에 따라 각각 경찰청과 대검찰청을 소관부처로 둔 안행위와 법사위에서도 여야 공방이 예상된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이 문제와 관련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개입 의혹도 제기하고 있기 때문에 운영위와 정보위에서도 해당 이슈가 '뜨거운 감자'가 될 수 있다.

폭발력이 강한 이슈들인 만큼 이들 상임위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내년 대선에까지 악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새누리당 입장에선 '밀리면 끝장'이라는 절박함이 있는 게 사실이다.

정보위 역시 어버이연합 문제를 비롯해 야권이 그간 밀어둔 국정원 관련 이슈를 적극 제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새누리당으로서는 주도권을 뺏겨선 안될 상임위 중 하나다.

방송과 미디어 언론 분야를 소관으로 두고 있는 미방위와 교문위의 경우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여야가 치열한 싸움을 펼칠 걸로 예상된다.

기재위는 예산과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상임위인 만큼 새누리당으로서는 빼앗길 수 없고, 더민주로서는 탈환해야만 하는 격전지 중에서도 최대 격전지다.

특히 최근 야권이 전통적으로 여당 이슈였던 기업 구조조정 문제를 먼저 들고 나오는 등 '먹고 사는 문제' 즉, 경제이슈가 차기 대선에서도 핵심 이슈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위원장직을 놓고 여야가 치열한 기싸움을 펼칠 예정이다.

정부와 새누리당 내부에선 기재위에서 주도권을 빼앗길 경우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협공'으로 법인세 인상 등 민감한 경제문제를 건들일 것이란 위기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대 총선 결과를 감안할 때, 19대 국회에서는 10개 상임위원장직을 챙겼던 새누리당이 20대 국회에서는 자신들이 위원장직을 가졌던 상임위 2곳 정도를 야당에 넘겨줄 거란 관측이 나온다.

특히 경제정책 관련 상임위의 경우 현재는 기재위와 정무위 위원장 모두를 새누리당이 배출한 상황이지만, 야권의 요구로 이중 1곳을 내어줄 가능성이 크다.

상임위 영향력의 경중을 따져 새누리당이 기재위를 붙잡고 정무위를 야권에 내놓는다면, 야권이 정무위와 산업통상자원위에서 주도권을 잡으면서 내년 대선을 앞두고 야권발(發) 경제민주화 이슈가 재차 급부상할 가능성도 있다.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ykb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