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북중 교역액 늘었어도 中 손 놓았다고 보긴 어려워"

북한은 다음 달 초에 개최될 것으로 알려진 제7차 노동당 대회에 아직 중국을 초청하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18일 전해졌다.

반면 러시아, 라오스, 쿠바 등 일부 초청 대상일 가능성있는 국가와는 물밑으로 초청에 관한 논의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北京)의 한 소식통은 18일 "일부 국가의 경우 북한이 공식적으로 초청한 것까지는 아니더라도 초청에 관한 이야기는 있었던 것으로 안다"면서 "그러나 중국과는 그런 이야기조차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5월 초까지 시간이 아직 남아있어 중국 측 인사의 방북은 시간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재 북·중 관계 등을 감안할 때 북한이 초청 자체를 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이 초청한다면 중국의 고위인사를 원하겠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이행이 진행 중인 데다 제5차 핵실험 가능성도 대두되는 상황에서 고위인사를 파견하는 것이 부담스럽지 않겠느냐고 이 소식통은 관측했다.

이런 점에서 북한이 중국을 초청하더라도 대표단의 '급' 문제로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미 북·중 관계는 올해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에 이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까지 더해지면서 급속히 냉각된 상태다.

북·중간 고위급 상호 방문은 차관급인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의 2월 초 방북 이후 2달 이상 자취를 감췄다.

한편 대북 관측통들은 대북제재 첫달인 3월의 북·중간 교역액이 전년도에 비해 20% 가량 증가했음에도 중국이 한 달 동안 손을 놓은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 관측통은 "대북 제재 결의안 통과 이후 중국 정부가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무역 등의 측면에서 많이 위축된 것이 사실"이라면서 "특히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과 같은 접경지역의 무역 거래는 크게 얼어붙었다"고 말했다.

3월의 교역액이 늘어난 것은 4월초부터 시작되는 제재 이행을 앞두고 거래를 앞당겼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일 수도 있다고 이 관측통은 덧붙였다.

이와 관련, 김장수 주중대사도 지난주 북중 접경지역인 단둥과 지린(吉林)성 훈춘(琿春) 등을 방문해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 상황을 살펴보면서 교민, 기업인, 학자 등의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연합뉴스) 홍제성 특파원 j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