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둥 은행권 달러·인민폐 송금 모두 불가…북한 돈줄죄기 시동
日닛케이 "단둥항서 1일부터 북한산 광물 수입금지 돌입"


중국이 북한에 대한 송금을 전면 차단하고, 단둥항에서 북한산 광물 수입 금지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앞두고 중국이 한발 먼저 독자 제재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모양새다.

2일 북중접경인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의 중국 각 은행 창구에서 만난 은행 관계자들은 북한 은행들과 달러, 인민폐(위안화) 등 모든 화폐를 통한 거래를 중단하라는 금융당국의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은행 관계자는 "이제 중국 은행들과 조선(북한) 은행 간의 거래는 전면 중단됐다.

언제 거래가 재개될지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가 이날 단둥의 금융기관이 밀집한 위앤바오(元寶)구 진산다제(錦山大街) 소재 은행 10곳을 상대로 북한 기업 및 개인에 대한 송금 가능 여부를 실제로 확인한 결과, 국유은행 4곳 등 모든 은행이 달러, 인민폐(위안화) 송금을 거절했다.

지난달 23일 역시 이곳 은행을 대상으로 연합뉴스가 대(對)북한 송금 여부를 조사했을 때 달러 송금 접수를 받지는 않지만 위안화에 대해선 송금을 허용하던 것에서 크게 달라진 모습이다.

국유은행인 농업은행, 건설은행, 공상은행, 중국은행의 단둥 분행이 북한 기업·개인에 대한 송금 접수를 거절했을 뿐 아니라 푸파(浦發)은행, 자오상(招商)은행, 단둥농상은행, 랴오양(遼陽)은행 등 민간 및 지방은행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은행은 대북송금 전면 중단에 대해 "은행 본점으로부터 조선(북한) 은행에 대한 송금중단 지시를 받았다"며 "3년 전부터 달러 송금을 불허했으며 이제 인민폐도 보내면 안된다"고 밝혔다.

농업은행 단둥분행 관계자는 "2013년 2월 조선의 3차 핵실험 이후 달러 송금 등 외환거래에 적용됐던 엄격한 기준이 올해 초 4차 핵실험 등으로 인해 위안화에까지 적용됐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북한 무역상과 외화벌이 일꾼들은 중국 은행에서 개인 명의로 계좌를 개설하고 위안화로 북한에 송금했으나 이제 불가능해졌다.

한 국유은행 관계자는 "북한 외교관 등이 은행창구에서 인건비 명목 등으로 직접 현금을 찾아가는 사례가 있었으나 이 또한 중단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중국 금융당국이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에 앞서 독자적인 금융제재를 강도높게 시행했다"며 "이번 조치가 북한의 돈줄을 죄는데 결정타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중국이 지난 1일부터 일부 항구에서 북한상 광물 수입 금지에 들어갔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북중 국경지대에 있는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시의 한 무역 관계자는 "항만 당국으로부터 (북한산 광물) 수입을 금지한다는 통지가 있었다"고 말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단둥과 신의주를 잇는 '중조우의교'(中朝友誼橋:압록강대교)의 중국 쪽 세관을 통해 1일 오전 약 70대의 차량이 북한에서 들어왔지만 석탄으로 보이는 물건을 실은 것은 한 대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소개했다.

그 하루 전날인 2월 29일만 해도 130대의 차량이 단둥 세관을 통과했으며, 복수의 트럭이 광물을 싣고 있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닛케이의 취재에 응한 중국 세관 관계자는 "다음날(3월 1일)부터 금수조치가 시행되는 점을 감안해 많은 이들이 (2월 29일) 서둘러 광물을 운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시간 3일 0시 이후 채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유엔 안보리 결의 초안에는 석탄, 철광석, 금, 티타늄, 희토류 등 북한산 광물 거래를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가 채택되기 전부터 제재를 발동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다만 중국 당국의 수입금지 통보가 내려온 것은 단둥항 뿐이며, 산둥(山東)성, 허베이(河北)성 등의 석탄 무역항에는 별다른 연락이 없었다고 닛케이는 소개했다.

그 점으로 미뤄 1일께 일부 항구에 한해 수입금지 지시가 내려갔으며, 안보리 결의가 채택되면 다른 항구로도 금수 조치가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단둥<중국 랴오닝성>·도쿄연합뉴스) 홍창진 조준형 특파원 realism@yna.co.kr,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