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25일 재개하기로 합의한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돌파구로 활용되는 단골메뉴다. 인도주의적 사안이라는 점에서 남북 모두 거부할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남북은 나흘간에 걸친 고위급 접촉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9월초 갖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산가족 상봉은 우리 정부의 대표적인 숙원사업으로 꼽힌다. 생존한 이산가족이 점차 줄어들고 이산가족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일부의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988년부터 올해 7월31일까지 이산가족으로 등록된 국내외 인사는 총 12만9698명이다. 6월말 기준으로 이중 절반에 가까운 6만3406명(48.9%)이 이미 사망해 생존자는 6만6292명이며 이중 절반 이상인 3만5997명이 80세 이상의 고령자에 해당한다.

때문에 박근혜 정부는 출범 이후부터 이산가족 상봉의 중요성을 여러차례 강조해왔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지난해 2월 20일부터 6일간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으며, 북한의 지뢰도발이 있기 전까지만 해도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이다. 정부소식통은 “북한은 행정 전산망 인프라가 부족해 이산가족 생사를 확인하는데도 적잖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며 “이같은 이유 때문에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을 남한에 대한 협상 지렛대로 활용하는 경향이 많다”고 말했다.

이번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정부가 이산가족 카드를 내세울 가능성은 곳곳에서 감지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한 방법으로 “6만 명의 남측 이산가족 명단을 북측에 일괄 전달하겠다”며 연내 상봉 및 정례화 등을 제시했다.

여기에 남북이 무박 4일의 전례없는 협상이 이어지면서 이산가족 상봉 역시 협상 테이블의 의제로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결국 남북은 진통끝에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했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첫 단추로 또 다시 이산가족 상봉을 선택한 것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