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에서 추방된 탈북 고아 9명이 결국 평양으로 강제 송환된 것으로 29일 파악되면서 우리 정부 대응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북한이 사건 초기부터 조직적·적극적으로 개입해 신속하게 압송 작전을 전개한 정황이 드러난 반면 우리 정부는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라오스 정부의 탈북고아 강제 추방과 비행편까지 동원한 북한 요원의 신속한 호송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그동안 탈북자 문제에서 상당히 우호적으로 협조해 온 라오스 정부가 탈북 고아들을 추방하고 우리측에 이 사실을 뒤늦게 알린 데 대해 우리 정부는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정부는 탈북고아들의 27일 추방, 28일 북송 등 사실 파악에 한 발짝씩 늦은 모습을 보였다.

라오스의 우리 공관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초기 대응이 부실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라오스 당국에서 그동안 탈북자들을 조사한 다음 우리측에 인계해주던 전례만 믿고 안이하게 대응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라오스측이 신병을 인도하겠다는 입장을 돌연 바꾸는 동안 우리 정부가 전혀 사전 감지하지 못했다는 점도 정보력 부재 문제로 지적된다.

공관은 지난 10일 이들이 적발되자 라오스 측에 신병 인도를 요청하고 면담을 시도했다.

그러나 탈북 고아들이 구금된 18일간 한 차례도 면담을 하지 못하다가 27일 라오스 당국으로부터 '난데없는' 북송 통보를 받았다.

북한 인권단체들은 29일 서울 외교부 청사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어 외교 당국의 대응을 비판하며 책임자 문책을 요구했다.

라오스 측은 우리측의 강한 유감 표명에 북한이 일찍 이 사건을 인지하고 신병인도를 강하게 요구해 거부하기 어려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라오스 추방사실을 파악한 뒤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서울-베이징간 외교채널을 가동해 중국에 북송 금지를 요청했으나 이미 한발 늦은 상황이었다.

탈북 고아들은 중국 입국시 여권과 적법한 단체여행 비자를 소지, 합법 체류자 신분이었기 때문에 중국 당국이 움직일 여지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탈북 고아들이 라오스 당국 조사를 받는 동안 북한측이 이들을 중국으로 이송하기 위한 관련 서류를 준비하는 등 치밀하게 움직인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정아란 윤일건 기자 air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