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후속대화 거쳐 6자재개 유력

북핵 6자회담 재개를 둘러싼 흐름이 빨라지고 있다.

북.미대화 이후 표면적으론 숨고르기에 들어간 듯한 형국이지만 물밑으로는 6자회담의 조기 재가동을 겨냥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정부 소식통들 사이에서 6자회담의 내년초 재개를 점치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는 것도 이런 흐름에서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22일 "내년 2월 이전에 6자회담이 개최돼야 흐름이 끊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또다른 핵심 소식통은 "이른 시일 내에 6자회담이 열려야 한다는게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북.미대화 이전만 하더라도 6자회담 조기개최 가능성에 회의적이었던 분위기와는 사뭇 달라진 언급들이다.

이 같은 흐름은 일단 북.미대화 이후 6자회담 조기개최 쪽으로 '5자간 컨센서스'가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이 '확답'을 주지 않았지만 이미 북.미 양국이 6자회담 재개에 대한 '공통이해'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6자회담 조기 개최는 움직일 수 없는 흐름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라는 얘기다.

한 소식통은 "6자회담 재개는 이미 수순을 밟아가고 있다"며 "북.미가 서로에게 원하는 방향이 있지만 큰 틀의 흐름은 변화가 없다는게 5자 내부의 공감대"라고 말했다.

그 기저에는 일단 6자회담을 궤도 위에 올려놓는데 대한 북.미간의 전략적 이해가 일치하는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핵없는 세계'를 공약으로 내건 오바마 행정부로서는 내년 4월 핵안보정상회의와 5월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평가회의에 앞서 북핵 문제에 대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는게 필요하다.

북한 역시 국제사회의 제재흐름을 완화시키면서 북핵 협상을 '새판짜기'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볼 수 있다.

6자회담 재개 움직임은 크게 두갈래 축으로 진행되고 있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의 중재와 뉴욕채널을 활용한 북.미간 물밑 조율이다.

우선 미국은 북.미대화를 마무리하면서 '바통'을 중국으로 넘겼다.

북한과의 양자대화를 통해 일정한 양해를 끌어낸 만큼 북한을 최종적으로 6자 테이블로 끌어올 역할을 중국이 맡아달라는 의미다.

이에 따라 중국은 6자회담 의장국의 지위로서 조만간 북한과 5자그룹간 조율에 착수, 6자회담 재개를 본격 추동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6자회담의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부부장이 추이톈카이(崔天凱) 주일 중국대사로 교체될 것이라는 설이 나도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중국은 특히 북한에게 6자회담 복귀의 '명분'을 제공해 복귀수순을 밟도록 하는데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중국측은 조만간 6자회담 수석대표 등을 북한에 보내고 한국, 일본, 러시아를 비롯한 관련국 순방에도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동시에 북.미간 뉴욕채널도 재가동될 전망이다.

북.미대화 이후 양측이 6자회담 재개의 필요성에 '공감'하기는 했으나 후속 대화개최 여부와 협상의제, 협상 틀을 놓고는 여전히 입장차가 크기 때문이다.

한 외교소식통은 "지금 서로에게 공이 넘어가있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라며 "미국은 보다 분명한 복귀약속을 하라고 요구하고 북한은 복귀의 '명분'을 달라고 주장하는 형국"이라고 지적하고 "양측이 북.미대화에 따른 후속조치를 놓고 물밑 조율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외교가가 주목하는 것은 6자회담으로 직행할지, 아니면 후속 북.미대화를 거쳐 6자회담으로 갈 지 여부다.

현 시점에서 뉴욕채널을 통한 북.미간 협의가 순조로울 경우 6자회담이 곧바로 열릴 가능성도 있지만 후속대화를 한차례 더 가진 뒤 6자회담을 개최하는 시나리오가 더 유력시되고 있다.

6자회담의 의제와 협상 틀에 대한 양측의 근본적 입장차가 크기 때문이다.

후속대화가 열릴 경우 시기는 1월말 또는 2월초가 될 가능성이 높고 장소는 미국 워싱턴 또는 뉴욕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의장국인 중국이 중재하는 형식을 빌릴 경우 베이징에서 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부상하고 있다.

한 핵심 소식통은 "현재로서는 어느 한쪽이 대화를 제의하면 거절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어떤 식으로든 후속대화가 열릴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후속대화가 열리더라도 오래 지체하지 않고 6자회담 재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r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