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의 우리나라 유치가 사실상 확정적 상황에 오기까지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의 치열한 막후 유치작전이 있었던 것으로 24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무엇보다 국제외교무대에서 몇몇 주요국가들이 경쟁을 벌였고, 한국 개최에 대한 이들 국가들의 견제도 심했다.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로 자리잡은 G20 회의를 주재한다는 자체가 국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국제사회 리더로서의 지위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특히 제1차 미국 워싱턴 회의 이후 일본과 호주가 차기 회의 개최를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2차회의는 영국 런던에서, 3차 회의는 미국 피츠버그로 각각 확정됐고, 이들 국가는 내년 개최도 결국 실패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워싱턴 1차 회의에서 귀국하자마자 G20 관련 태스크포스 구성을 지시했다.

아울러 사공일 당시 대통령경제특보에게 `G20정상회의 기획조정위원회' 위원장을 맡겨 이 문제를 전담시키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한국 개최를 설득하라는 특명도 내렸다.

이처럼 G20을 전담하는 정부내 기구가 만들어진 게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아 다른 경쟁국을 제치는 결과로 이어졌다.

한 청와대 참모는 "정부가 그만큼 중요성을 인정하고 무게를 뒀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이 대통령이 3차례에 걸친 G20 회의에서 다른 정상들보다 의욕적으로 주요 어젠다를 던지고 회의 결과를 주도한 것도 한국 개최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이 대통령은 1차 회의부터 보호무역주의 반대및 현 수준 동결(스탠드 스틸)을 제안해 회의성명에 반영시켰다.

이 대통령은 특히 글로벌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거시경제정책 공조강화, 지속가능한 균형성장을 위한 협력체제 형성 등도 줄곧 강조하며 논의를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이 대통령이 이처럼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의 가교 역할을 자임한 게 양측으로부터 점수를 얻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한국 개최가 그냥 하늘에서 굴러떨어진 게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특히 내년은 `포스트 위기' 이후의 출구전략를 논의하고 선진국과 신흥국간 `불균형성'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해 나가야할 중요한 시점이라는 점에서 한국 유치가 확정될 경우 의미를 더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한국 개최에 대해 미국과 호주의 도움이 컸다"고 전했다.

3차례의 회의에서 호주는 내년에는 한국에서 개최하는게 좋겠다는 의견을 적극 개진하며 `바람'을 잡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피츠버그연합뉴스) 추승호 이승관 기자 chu@yna.co.kr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