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는 25일 북한의 2차 핵실험 실시와 관련, 이상희 국방부 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긴급 전체회의를 열고 정부의 대응 방안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특히 위원들은 이번 핵실험의 성공 여부와 이에 따른 핵보유국 인정 가능성을 따져 묻고, 핵 억지를 위한 전시작전권 환수 시기 연기 및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가입 등을 촉구했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정국에 `남남 갈등'을 조장하기 위한 의도적 실험이 아니었느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은 "국제관례는 핵실험에 성공했다면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데 굳이 우리는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이번에는 실험 규모도 지난번보다 큰데 성공적인 핵실험으로 인정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같은 당 유승민 의원은 "남의 초상 중에 이런 도발행위를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북한이 핵실험을 일주일이나 한 달 뒤에 해도 되는데도 실험을 한 의도에 대해서 정부가 진지하게 조사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성회 의원은 "6월에는 한미 정상회담도 있고, 미국과 동맹관계를 강화해야 하는데 전시작전권 환수 시기를 연기하는 것에 대해서 검토를 해야 한다"며 "PSI에도 적극 참여해야 하고, 대북한 자산 동결을 비롯한 유엔 차원의 강력한 대북제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자유선진당 심대평 의원은 "국제사회에서 공조를 위한 외교적 노력도 해야하지만 한미 핵우산 강화를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한반도 평화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난 10년 동안 지속된 핵실험에 함의된 현실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지난 2006년 북한의 핵실험 이후 정부는 부분적 성과로서 나중에 평가를 했다"며 "이번에도 핵실험을 한 징후는 분명하고 위치도 대략 식별하고 있으나 어느 정도 성공했느냐는 분석을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또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영원히 핵보유국으로 인정되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국방부는 북한이 핵을 보유했다는 가정 속에서 군사대비를 한다"고 답했다.

앞서 김학송 위원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비는 묵념으로 회의를 시작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의사일정이 합의되지 않았다며 회의에 불참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장하나 기자 aayyss@yna.co.krhanajj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