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년 핵실험 규모.내용에 의혹 남아

북한의 '장거리 로켓' 사태 이후 북한의 핵실험 성공 여부가 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북한이 5일 인공위성의 궤도진입 성공을 주장하고 있지만 한.미 당국이 즉각 "궤도진입에 실패했다"고 일축한 것과 같은 일이 3년 전에도 일어났기 때문이다.

2006년 10월9일 북한은 중앙통신을 통해 "지하 핵시험을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특히 "과학적 타산과 면밀한 계산에 의해 진행된 이번 핵실험은 방사능 유출과 같은 위험이 전혀 없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 강행 직후부터 전문가들은 여러 문제점을 제기했다.

일단 진도를 문제삼았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북한의 핵실험 발표 다음날 "북한 핵실험에서 감지된 지진파가 진도 3.9였다"고 밝혔다.

전날에 발표한 수치인 3.58을 수정한 것이지만 이는 대략 TNT 1kt의 폭발 규모다.

이 정도라면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각각 투하된 15kt과 22kt 정도에 비하더라도 상당히 작은 폭발 규모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폭발규모와 관련, 북한 핵과학자들이 '핵실험 성공'을 가장하기 위해 핵물질(Pu239)에 다른 이물질(Pu240)을 섞어 터트렸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김정일 위원장 등 수뇌부에게 '핵실험 성공'을 보고하기 위해 위장실험을 했다는 것이다.

이런 추측은 객관성 여부를 떠나 그만큼 북한의 핵실험이 일반적인 성공사례와는 상당히 다른 내용과 양상을 보였음을 말해주는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1kt급 이하의 소형 전술 핵탄두를 개발해 먼저 실험했을 가능성과 10~20kt급의 전략 핵탄두를 실험했으나 부분적으로 실패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북한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보느냐를 놓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지난해 10월7일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국회 외통위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윤상현 의원이 북한의 핵보유 여부를 묻자 "북한은 주장하지만 난 인정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유 장관은 "북한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본 사람도 없고 검증한 사람도 없다"면서 "검증을 해봐야 어느 정도 핵능력이 있는지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능력을 짐작케할 2006년 핵실험의 성공 여부가 상당기간 논란이 될 것임을 예고한 셈으로, WMD 투발 능력을 보여줄 이번 인공위성 궤도진입 성공 여부를 둘러싼 논란도 그와 다르지 않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lw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