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새 지도부 과제는…  쇠고기 민심수습·국회정상화 '발등의 불'
한나라당이 3일 전당대회를 열고 새 지도부를 선출함에 따라 10년 만의 집권 이후 비로소 보수여당의 체제 정비가 완료됐다.

청와대가 인적쇄신을 단행했고 조만간 이뤄질 개각까지 감안한다면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당·정·청 재편이 마무리된다는 의미다.

그러나 새 지도부는 당장 '쇠고기 난국'으로 일컬어지는 국가위기 상황을 수습하고 경제회복을 위한 민생입법을 실현해야 하는 동시에 당내 화합도 다져야 하는 등 곳곳에 산적한 과제를 안고 있다.

무엇보다 정국 정상화가 당면 과제다.

정치컨설턴트 민기획의 박성민 대표는 "새 지도부는 집권여당의 '컨트롤 타워'로서 현재의 국가위기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위기관리의 리더십'을 우선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전당대회 이후 곧바로 대내외적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당장 촛불시위 양상이 달라지면서 종교계 등을 설득해야 하고,야당의 반대로 문도 열지 못하고 있는 국회를 정상화시켜야 한다.

정효명 리서치앤리서치 선임연구원은 "이명박 정부 출범 100여일 만에 대통령 지지도는 20%대로,또 50%를 견고히 지키던 당 지지율은 30%대로 뚝 떨어졌다"고 지적하면서 "여당이 실종됐다는 비판이 적지 않은 만큼 국정운영의 주도권을 회복하기 위한 민심수습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당청관계 재정립도 중요한 과제다.

이번 쇠고기 파동 이후 당과 청와대 간 긴밀한 소통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동시에 당이 청와대의 거수기 노릇을 해서는 안 된다는 요구도 적지 않다.

두 가지의 조화는 쉽지 않다.

김호기 연세대 교수는 "지금은 여권 내부의 결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면서 "지난해 대선 경선 이후 앙금으로 남은 당내 친이(이명박)ㆍ친박(박근혜) 간 갈등을 풀기 위한 지도부의 중재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계파싸움,줄세우기 논란이 재연된 전당대회 후유증 극복도 만만치 않은 숙제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는 "당청이 확고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또 화합과 소통을 위해 친박 인사들의 복당문제 해결 등 당내 비주류세력 포용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민생 챙기기도 중요한 숙제다.

국회는 임기 시작 1개월이 넘도록 개원은 물론 국회의장 선출조차 못하고 있다.

국가적 행사를 포함한 주요 의전행사는 물론 각종 민생법안 처리도 '올스톱' 상태다.

정부가 6월 중 요청한 '국회통과 필요법안'도 23개나 되지만 현재 여당 정책위원회 테이블에서 먼지만 쌓이고 있다.

학교자율성 확대를 골자로 한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지방재정 자율성을 높이는 '지방재정법 개정안','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에 관한 법률안',자연녹지지역에 공장 증설을 허용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안',출총제 폐지ㆍ대규모 기업집단 지정기준 상향조정 등을 담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안'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규제개선 법안은 '이명박 정부'가 내세운 MB노믹스의 핵심사안이다.

집권여당의 새 지도부로선 무엇보다 규제개혁을 통한 국가의 체질개선에 양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는 것이 정치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