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당의 핵분열이 가시권안에 들어오면서 이해찬(李海瓚) 한명숙(韓明淑) 전 총리, 김혁규(金爀珪) 의원 등 당내 친노(親盧) 주자들의 진로선택에 범여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선도탈당을 시작으로 한 탈당 도미노의 여파로 대통합 시한인 14일을 전후로 우리당이 친노그룹과 비례대표 등 40∼50명 규모로 왜소화될 것으로 점쳐지면서 `친노' 꼬리표를 달고 있는 이들 역시 선택을 강요받는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셈.
일단 이들 주자 3명은 기본적으로 `질서있는 대통합'을 위한 당 지도부의 노력에 힘을 보태면서 당 지도부와 운명을 같이 하는 방식으로 대통합의 길에 합류한다는 원칙에 공감을 형성한 상태이다.

이들과 교감해 온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조만간 3자 회동을 갖고 이 같은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각론으로 들어가면 `온도차'도 감지된다.

제3지대론에 가장 적극적인 쪽은 한 전 총리이다.

한 전 총리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현재 탈당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질서 있는 대통합을 이루는 과정에서 당과 협의해 다 합치는데 저의 입장도 같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힌 것도 탈당을 수반하는 제3지대행(行)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그 스스로 "나를 친노로 범주화한 것은 언론"이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한 전 총리는 7일 정세균 의장과 유인태 배기선 의원 등과 만나 의견을 나눴으며 이날 민주당 통합파인 장 상 전 대표와 대통합을 역설해 온 김 전 대통령을 예방한 뒤 조만간 민주당 한화갑 전 대표, 박준영 전남지사 등과도 만난다.

한 측근은 "한 전 총리는 이미 대통합을 위해 몸을 던졌고 대통합의 흐름이 어느 정도 잡히면 과단성 있게 결단할 것"이라며 "`친노신당'은 막겠다는 입장이 확고하며 대통합신당의 오픈 프라이머리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혁규 의원측도 탈당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김 의원과 친한 한 의원은 "최선의 방법이 대통합 신당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며 "경우에 따라 탈당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탈당을 하더라도 지도부와 거취를 함께 하는 탈당이어야 할 것"이라며 덧붙였다.

한 전 총리와 김 의원이 탈당 가능성까지 선택지로 검토하고 있는 것은 이해찬 전 총리가 친노 대표주자로 급부상하면서 친노그룹내에서 상대적으로 공간이 좁아진 데 따른 현실적 고려도 깔려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반면 이 전 총리는 지도부와 중진, 시민사회와도 자주 접촉하는 동시에 당내 친노그룹을 대상으로 대통합의 필요성을 설득하는 등 폭넓은 행보를 보이면서도 "탈당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친노를 포함, 한 사람도 빠짐없이 다 참여하는 대통합으로 가야하며 참여정부를 부정하는 신당에는 동참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전 총리측 한 의원은 "일단 당에 남아서 우리당의 모든 세력이 대통합 신당에 합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마무리 짓게 되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이 전 총리가 끝내 당에 남을 경우 우리당은 이 전 총리를 구심점으로 하는 핵심 친노인사를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 명 모두 대통합 신당 흐름에 합류할 경우 친노그룹이 상당수 동요하면서 우리당에는 유시민 김두관 전 장관 등 소수만 남을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우리당 핵심 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 지도부의 대통합 작업이 큰 차질없이 진행된다면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 등도 함께 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