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전 경제부총리가 교육부총리로 배를 바꿔탔지만 그동안 교육부가 추진한 교육정책은 크게 바뀌지 않을 전망이다. 그는 `교육의 시장화.산업화' 등을 우려하는 교육계 분위기를 의식한 듯 취임식이나 취임 후 기자회견 등에서 이 부분을 특히 여러차례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취임사에서 "교육혁신은 일관성을 갖고 중단없이 추진해야 하는 만큼 그동안 추진된 교육정책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우수인재를 육성하는 정책을 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가 경제계 요구에 맞춰 고교평준화나 3불(不) 원칙 등의 틀을 깨거나뜯어고칠 것이라는 일부 예측에 대해서는 "평준화제도의 기본골격을 유지하고 3불정책도 지키겠다"고 이전 교육수장들과 똑같은 말을 했다. 하지만 자신이 교육수장으로 낙점된 경제.사회적 요구와 노무현 대통령 의지를반영, 대학개혁에 강한 의욕을 내비치기도 했다. ◆"대학 구조개혁은 선택 아닌 생사 문제" = 그는 "대학 스스로 현장에 맞게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취약한 부문은 구조조정을 통해 과감하게 정리하면서 경쟁력있는분야에 집중하는 자율적인 구조개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대학이 `경쟁과 자율'의 바탕 위에서 스스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때 각종 걸림돌을 제거해주는 행정적 지원과 `선택과 집중'에 기반을 둔 재정적 지원을 우선적이고 지속적으로 하겠다는 것. 그는 "고교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 81%는 미국 61%, 일본 50%보다 엄청나게 높은것이고 대졸자도 10년새 2.5배가 늘었지만 산업계는 쓸만한 인재가 없어 1~2년간 월급을 주면서 따로 가르쳐야 하는 실정"이라며 "산업계도 일자리 창출에 노력해야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대학교육이 바뀌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따라서 국내 대학가는 급속도로 `적자생존'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전망이다. 아울러 외형적 구조조정은 물론 경제계에 불만이 팽배한 대학 및 전문대 교육과정도 산업계 요구에 맞춰 대폭 수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부총리는 이공계에만 초점을 맞춘 경쟁력 강화 방안이 신경쓰인 듯 "문학.사학.철학 등 인문.사회과학과 물리.생물.화학 등 자연과학과 같은 기초학문 육성에도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평준화.`3불(不)' 기존 정책 유지" = 그는 "교육수장 1명이 바뀌었다고 정책을 바꿔서는 안되며 교육부 직원과 전임 장관이 수립한 정책을 흔들림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초등교육은 인성교육과 창의성 교육을, 중.고교 교육은 평준화의 기본골격을 유지하면서 형평성 및 수월성(秀越性) 교육을 각각 조화시키는데 역점을 두겠다는 것. 경제부총리 때 특목고 및 자립형 사립고 확대 등을 강조했던 것에 대해서는 "교육수장이 된 만큼 교육의 공공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며 "자립형 사립고는 6개교 시범 실시 결과에 따라 교원단체 등과 협의해 정책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임명 직후 "3불 정책이 뭐냐"고 되물으며 "기여입학제는 안되지만 대학자율권은확대해야 한다"고 해 본고사나 고교등급제는 손을 대는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낳기도했지만 이날엔 "3불 정책 유지는 불가피하다"고 못을 박았다. 교육시장 개방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조심스럽게' 접근해 `경제부처나 교육단체 등과 충분한 사전 논의를 거쳐' 결정하겠다며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다만 "서비스시장도 제조업 등과 마찬가지로 궁극적으로 개방해야 하며 우리 젊은이들이 독창성.창의성이 있고 IT(정보기술)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어 걱정은 안해도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상당수 교육단체는 여전히 미심쩍은 눈초리를 보내고 있어 이들 단체와의 관계 정립이 교육수장으로서의 안착이나 원활한 업무 수행의 가장 큰 숙제로 남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