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4∼17일 평양에서의 제12차 남북장관급회담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2차 6자회담 개최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국내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북한 당국이 최근 차기 6자회담 불참을 시사하면서 전례없이 미국과 일본을 겨냥해 공세의 톤을 높이고 있어 북측이 어떤 입장을 보일 지 주목된다. 이에 따라 이번 회담에서는 경제협력사업, 사회문화교류 등 남북관계 현안보다는 북핵 문제와 차기 6자회담 수용 여부가 핵심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세현(丁世鉉) 통일부 장관은 7일 국정감사 시작에 앞선 인사말에서 "북한 핵문제는 이제 6자회담이라는 다자간 대화채널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12차 장관급회담에서) 북한에 6자회담을 통한 핵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계속 설득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그러나 북한이 최근 `플루토늄 용도변경' 발표에 이어 `미국의 서면안전담보는 빈 종잇장' `6자회담 일본 배제' 등 회담의 기본틀을 부정하는 강성 발언을 쏟아내고 6자회담 불참을 시사하는 발언을 잇따라 흘리고 있는데 주목하고 있다. 일단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전형적인 술책으로 보고 있지만 이라크전 이후 국제적인 역학관계 변화와 부시 미 행정부의 유화 제스처를 오판해 북미 대치의 강도를 높이고 있을 개연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은 장관급 회담은 통상 남북관계 전반을 논의해온 자리인만큼 핵문제, 차기 6자회담 문제는 논의에서 제외하자고 고집을 부릴 가능성이 높다"며 "따라서 장관급 회담은 시작부터 난항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사실 12차 평양 장관급 회담은 전반적인 정황을 고려할 때 지난 7월 9∼12일 서울에서 개최된 제 11차 남북 장관급 회담과 유사한 측면이 적지 않다. 당시 11차 회담은 북한이 핵문제 해결을 위해 확대다자회담 수용을 강력히 촉구하는 국제사회의 요구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열렸고, 당연히 확대다자회담 수용 여부가 핵심의제가 됐다. 이 때 남측은 회담내내 북측에 확대다자회담 수용을 촉구했고, 회담 막판에 북측은 "핵문제를 적절한 대화의 방법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는 표현을 공동보도문에 넣는데 동의했다. 확대다자회담 수용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북한은 11차 남북장관급회담 종료 20일후인 8월1일 남.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참여하는 6자회담 수용을 전격 발표했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현재로선 (12차 장관급회담에서) 북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 지 예측하기는 힘들다"며 "하지만 북한도 이미 6자회담의 유용성과 지속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대북 설득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차기 6자회담 외에 남북사회문화협력분과회의 구성, 제2차 남북국방장관회담 개최, 남북 직교역 현실화를 위한 중소기업사무소 개설 문제 등도 주요 의제로 논의될것으로 보이며, 사실상 국회의 거부로 지연되고 있는 가을 시비용 비료 10만t 지원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