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영변 핵 시설에 보관돼 있던 8천여개의폐연료봉에 대한 재처리작업을 지난달 30일 완료했다고 미국에 정식으로 통보한 것으로 전해져 핵과 관련한 그동안의 북한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장성민(張誠珉) 전 민주당 의원이 12일(현지시간) 연합뉴스 워싱턴 특파원에게밝힌 바에 따르면 지난 8일 뉴욕에서 가진 북-미 실무접촉에서 북측은 폐연료봉 재처리 사실을 통보하면서 이를 '핵 억제력'에 사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북한이 폐연료봉 재처리 사실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지난 4월18일로 이 때외무성 대변인은 "8천여개의 폐연료봉 재처리작업이 '마지막 단계'에서 성과적으로진행되고 있음을 3월초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후 미국 정보기관과 언론은 폐연료봉 재처리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거나'엄포용'이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측이 '폐연료봉 재처리 완료' 사실을 통보했다는 소식과 함께 최근며칠새 미-일 양측에서 재처리 진행을 확인하는 보도가 잇따른 점으로 미뤄볼 때 북한측은 지난 1월10일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성명 발표 이후 당초 계획대로 폐연료봉 재처리 과정을 밟아왔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이 핵무기 보유 의지를 간접적으로 시사한 것은 지난 4월30일로 이는 중국베이징(北京)에서의 북-중-미 3자회담(4.23-25)에서 자신들에 제시한 소위 '새롭고대담한 제의'에 대해 부시행정부가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은데 따른 것으로 볼수 있다. 당시 외무성 대변인은 "우리는 필요한 물리적 억제력을 갖추기로 결심하고 행동에 옮기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경고했다. 이후 북한은 5월12일 조선중앙통신 상보를 통해 미국의 대북적대시정책과 핵 시비로 한반도 비핵화선언이 백지화됐다고 선언했다. 북한이 '물리적 억제력' 또는 '강력한 군사력'이라는 표현 대신 '핵 억제력'이란 표현을 처음 사용한 것은 지난달 6일 외무성대변인이 서방선진 8개국(G7+러시아)정상회담의 대북 선언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부터이다. 당시 외무성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 기자 질문에 답하면서 "우리는 지금 핵 억제력을 갖추는 문제에서 미국과 기타 핵 억제력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들이 아무런국제법적 구속도 받지 않고 있는 것과 꼭 같은 법적지위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9일 조선중앙통신은 「우리의 핵 억제력은 결코 위협수단이 아니다」라는제목의 '논평'에서 "핵 억제력을 갖추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은 지난달 18일 외무성 대변인이 성명을 통해 '핵 억제력 강화'를 언급하면서 핵무기 보유 의지를 강력히 시사했고 이후 25일까지 북한 매체들은 연일 '핵 억제력'에 대한 언급을 반복했으며 이후 핵 억제력에 대한 언급을 일절 삼갔다. 북한이 지난달 30일 영변 핵 시설의 폐연료봉에 대한 재처리 작업을 완료했다고통보한 사실로 미뤄볼 때 북한 매체들이 핵 억제력을 계속 언급하다 그친 때가 바로재처리작업이 완료된 시점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북한 평양방송이 지난 1일 "전쟁 억제력을 시험하지 말라"는 요지의 보도물을내보낸 것이나 서울에서의 제11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북측 김령성 대표가 "우리는전쟁에도 다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것도 '핵 억제력 확보'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연합뉴스) 강진욱기자 k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