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의 '경제 개혁'은 청와대에서 전반적인 기획과 주요 현안들을 추진하고 재정경제부는 관련 제도 및 법 개정과 정책집행 작업을 나눠 맡는 구도로 진행될 전망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청와대 정책실에서 국가 발전의 큰 그림과 주요 현안들을 챙기고, 재경부는 세제와 금융관련 법규들을 개정해 현실에 적용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경제부는 경제총괄 부처로서 지금까지 세제 금융 거시경제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국가비전, 부처의견 조율 등에 폭넓게 관여해 왔다.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경제장관간담회와 경제정책조정회의 수장으로서 긴급 현안이 생길 때마다 해결사로 나섰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들어 청와대 안에 정책실과 여러 태스크포스팀들이 신설됨에 따라 재경부의 위상이 달라질 전망이다. 장기비전 수립과 개혁정책 입안, 주요 현안 추진 등의 업무를 청와대 정책실로 넘겨줘야 하기 때문이다. 활동 반경이 줄어들고 위상도 예전보다 못할 전망이다. 김진표 신임 경제부총리는 옛 재무부 출신의 세제통으로 법률의 제.개정을 통한 정책 집행에서 전문적인 능력을 발휘해 왔다. '뜬구름 잡기'식의 기획보다는 실질적인 법 개정을 통해 정책을 수행하고 경기대책을 마련하는데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반면 청와대 정책실은 경제개혁 과제들을 입안하고 동북아중심국가 발전계획 등 주요 현안들을 직접 담당한다는 구도다. 이정우 정책실장은 청와대에 신설될 동북아중심국가 태스크포스 등을 통해 정부정책의 기본 방향을 정하는 일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권오규 정책수석은 정부 부처들과의 정책 조율을 맡는 쪽으로 역할 조정이 이뤄졌다는 것. 그러나 청와대 정책실에는 과거 정부시절 '파견직'으로 근무했던 경제관료 출신의 1급 비서관들이 없어 실제로 정책을 입안하는 과정에 많은 재경부 실무관료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