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3일 북한이 5MW(메가와트)급 원자로에 이어 사용후 연료봉(폐연료봉) 저장시설에 대한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봉인도 제거한 것과 관련, 공식입장 발표를 통해 북한의 원상회복을 강력 요구했다. 정부는 이날 외교부 당국자 논평을 내고 "북한이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핵동결 해제조치를 취한 것은 이 지역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고, 국제사회의 핵확산 우려를 증폭시키는 행위"라면서 "깊은 유감을 재차 표명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북한이 이같은 조치를 중단할 것과 이제까지 취한 봉인 제거 및 감시카메라 작동중지 조치를 즉각 원상복구시킬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정부는 이어 "우리 정부는 IAEA 및 미.일 등 주요 관계국들과 이번 사태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고 있으며, 이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국제적 공조노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최성홍(崔成泓) 외교장관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 외상과의 22일 전화협의에 이어 23일 이태식(李泰植) 외교부 차관보와에번스 리비어 주한미대사관 공사간 긴급 협의 등 연쇄협의를 통해 대북 추가대응책을 협의했다. 정부는 조만간 노 당선자측 대미특사 인선이 끝나는 대로 정부 인사들과 합동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미국에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한미 양국은 북한의 의도, 북한이 취할 예상조치 및 거기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향에 대해 폭넓은 협의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정부도 이번 상황을 상당히 엄중히 바라보고 있으며, 북한의 전력생산을 넘어서는 의도에 대해서도 충분히 상정하고 대책을 세우고 있다"면서 "북한은 대단히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하지만 구체적인 대북제재 조치 등은 현재 논의되지 않고 있다면서 "현단계는 중국, 러시아를 통한 국제사회 메시지의 대북전달을 비롯한 외교압력을 점점 가중시키는 단계"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아직 북한이 그동안의 입장을 변화할 것이라는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고 있다"면서 "이번 사태의 원인제공은 어디까지나 우라늄 핵개발계획을 시인한 북한에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고 밝혔다. 다른 당국자는 "폐연료봉은 북한이 말한 전력생산 의도와는 관계가 없다"면서 "국제사회의 대응이 빨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내달 초 북핵문제를 다루기 위한 긴급 이사회를 소집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 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