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은 남한-북한-미국-일본 사이의 굵직굵직한 교류와 대화가 숨가쁘게 이어져 한반도 정세변화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지난1월 조지 W 부시 미국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으로 지목한 이후 형성됐던 긴장기류가 완화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이는 특히 북한의 경제개혁 움직임과 맞물려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우선 남북한은 오는4일부터 3일간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 등을 논의할 적십자회담을 갖는다. 7일엔 남북축구대회,10∼12일엔 금강산관광 당국간 회담,13∼15일엔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실무협의회,추석 이전 5차 이산가족상봉,군사실무회담 등이 이어지게 된다. 18일엔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 동시 착공에 들어간다. 북한을 둘러싼 한·미·일 당국간 회담도 잇달아 열린다. 오는 6∼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일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회의에서는 미국의 대북특사파견 문제를 조율하게 된다. 북한은 이미 지난 7월 특사를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TCOG회의에선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17일 방북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오는 10일 뉴욕에서 열리는 제57차 유엔총회 △12일 고이즈미 총리와 부시 대통령간 정상회담 △이달말 덴마크에서 열리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등도 대북정책을 조율하는 장이 될 전망이다. 북한이 이처럼 한·미·일 3국과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지난 7월부터 시작된 경제개선조치를 성공시키기 위한 대외원조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 당시 취한 물가·임금인상,쌀 배급제 폐지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같은 부작용을 막기 위해선 해외로부터의 지원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일본으로부터 보상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50억∼1백억달러 규모의 유·무상 원조는 북한의 열악한 사회간접자본(SOC)과 개성공단 건설 재원으로 쓰일수 있다는 점에서 남북한 경제협력의 성공 여부와도 직결된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