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북장관급회담 예비접촉을 시작하면서동시에 미국에 유엔사 장성급회담을 요구했다. 북한은 지난 6월29일 발생한 서해교전 이후 일관되게 미국의 책임론을 거론하며북방한계선(NLL) 철폐 및 유엔사 해체를 요구해왔고 급기야 1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가 NLL의 '비법성'을 강조하는 `백서'를 발표한 뒤 하루만에 미국에 대해북한군과 유엔사 사이의 장성급회담을 전격 제의한 것이다. 이는 8.15통일대축전 등 민간통일행사와 남북장관급회담 등을 추진하면서 한편으로 미국과는 NLL 등 한반도의 군사적 대치상태 해소를 위한 군사적 담판을 시도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북측의 이런 움직임은 아시아지역안보포럼(ARF)를 계기로 미국의 대북 접근 태도 변화에 따른 발빠른 대응이기도 하지만 북측은 이미 지난 수십년간 NLL 문제를비롯한 한반도 평화정착 문제는 정전협정 당사자인 미국과 풀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견지해왔다는 점에서 새로운 것은 아니다. 아직까지 미국의 반응은 나오지 않았지만 북ㆍ미 관계가 해빙조짐을 보이는 현상황을 감안할 때 미국이 북한의 제의를 수락할 가능성이 높다. 북측이 1일 발표한 조평통 백서 역시 해빙무드를 타기 시작한 대미 관계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북한군-유엔사 장성급회담이 열릴 경우 의제는 조평통 백서가 명시했고 실제 남북간 및 북ㆍ미간 군사 현안인 NLL 문제에 초점이 맞춰질 수 밖에 없다. 조평통 백서 내용은 △NLL은 서해 해상 경계선이 아니며 △서해 해상경계선 확정은 북한과 미국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미국이 선포한 북방한계선이 북측의 요구대로 없어지고 새로운 해상경계선이 설정될지는 속단할 수 없지만 모종의 변화가 모색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브루나이에서 열린 ARF 외무장관회담에서 백남순(白南淳) 외무상이 미국에대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긍정적인 조치를 촉구했고 미국이 이를 호의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로 미뤄볼 때 `한반도 전쟁상태' 종식과 관련한 북ㆍ미간 대타협에서 일정 부분 진전이 있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서해교전 사건에 대한 북측의 유감 표명과 미국의 유화적인 대북접근 등으로 촉발된 한반도 해빙무드가 한반도의 긴장상태 해소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강진욱기자 k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