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지방선거에서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 중심의 노동계가 정치세력을 확대하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개표결과 공동경선을 통해 후보를 낸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은 이갑용(李甲用)동구청장당선자와 상당수의 광역.기초의원 당선자를 냈으나 전국적 관심을 모았던송철호(宋哲鎬)후보가 울산광역시장선거에 실패한 것이다. 이로써 노조의 정치참여가 처음 허용된 98년 지방선거 때 국민승리21과 연대해울산에서 북구.동구청장 등 2명의 구청장과 광역.기초의원 등 10명의 후보를 당선시키며 정치세력화의 기반을 닦았던 민주노총은 더큰 정치세력으로의 성장하려는 꿈을이루지 못했다. 민주노총은 이번 울산선거에서 광역시장을 비롯해 98년 선거때보다 더 많은 후보를 당선시켜 정치적 기반을 굳히기 위해 민주노동당과의 합동경선을 통해 후보를선출했다. 지난 4월 53명의 경선후보를 두고 6만5천여명의 민주노총 근로자와 민주노동당당원이 경선을 실시해 이 가운데 35명을 후보로 확정, 근로자의 대동단결에 나선 것이다. 민주노총의 핵심세력인 현대자동차노조도 회사측과의 임금협상을 선거와 연계해투쟁하면서 지원에 나섰고 노조홈페이지와 발행지 등을 통해 노동계 후보가 당선돼야하는 당위성을 알리는데 주력했지만 예상밖의 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결과는 광역단체장선거의 경우 정당지지도가 상당한 변수로 작용하는데한나라당이 문제를 제기했던 것처럼 민주노동당의 정강정책이 너무 급진적이지 않느냐는 우려가 적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 현대자동차노조가 노동계의 단결을 유도한다는 것이때로 정당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등 무리수를 두어 내부적으로 반발을 샀던데도 원인이 있어 보인다. 98년 지방선거 때는 '정리해고' 문제로 고용불안 심리가 극도로 확산돼 있었기때문에 '일자리를 지켜야한다'는 근로자들의 위기감이 응집력을 일으켜 정치세력화의 기반을 마련했지만 이번에는 국민들이 정치에 식상해 있다는 것 외 피부에 와닿는 이슈가 없었던 점도 이런 결과를 낳았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결국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이 지방은 물론 중앙정치 무대에서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려면 이번 선거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여 유권자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합리적 정강정책을 마련하고 투쟁일변도의 행동에서도 벗어나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당수 시민들은 "노동운동을 주도해온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후보가 시장이 된다는게 사실은 불안하다"며 "신선하고 신뢰할 정치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쟁일변도의 행동방식과 인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연합뉴스) 서진발기자 sjb@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