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정치권의 지각변동을 일으킨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국민경선대회장 주변은 장터를 방불케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붐볐다. 각종 간이음식점들이 즐비했고,관광버스를 타고 온 수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인근 중대형 식당들은 단체손님들로 때아닌 호황을 누렸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 다시 '선거특수'가 일고 있다. ◆돈 얼마나 풀리나=중앙선관위는 지방선거와 관련해 19일 각 선거별 지역별로 선거비용 제한액을 공고했다. 광역자치단체장의 경우 후보자 1인당 평균 선거자금 상한액은 10억6천4백만원이다. 이 액수를 기준으로 경쟁률을 3대1로 잡고 16개 지역의 총선거 비용을 단순 계산하면 최대 5백10억원이 된다. 물론 기초단체장까지 포함될 경우 비용은 더 늘어난다. 그러나 실제 지방선거에 사용되는 비용은 수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올해 선거의 경우 물가와 선거방송 단가의 상승 등 각종 비용증가로 공식 비용이 크게 늘었다. 서울의 경우 지난 98년 24억8천만원 수준에서 올해는 29억3천8백만원으로 증가하는 등 시도지사 선거비용은 이전 선거 대비 23.9% 상승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의 경쟁률은 3대1 정도로 예상돼 지난 98년 선거의 2.4대1보다 크게 높아지는 등 경쟁률 상승에 따라 지방선거에 풀릴 자금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역경제 활성화되나=단기적으론 돈이 풀려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관광산업과 요식업 숙박업 등에서 '반짝경기'가 예상된다. 민주당 박병윤 정책위의장은 "선거전을 통해 생산적 정책대안들이 제시돼 경제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실제로 선거특수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작용에 대한 목소리도 있다. 한 달 남짓한 짧은 기간동안 선거비용 한도의 3∼10배 정도되는 수천억원의 돈이 한꺼번에 풀릴 경우 물가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LG경제연구원 김성식 연구위원은 "선거철이 되면 각종 개발공약이 난무하고 실제로 돈이 많이 풀리기 때문에 각종 부작용이 속출했다"며 "90년대초 전국토가 부동산 투기장화된 것은 대표적인 선거후유증"이라고 지적했다. 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강현택 교수는 "선거자금이 주로 인건비로 사용되는 등 자금흐름이 비생산적"이라고 꼬집었다.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기업들의 내실경영과 부실 정리 기회를 상실할 위험이 크다"며 "특히 각종 불법 선거자금을 제공받아 당선된 단체장들이 각종 부패행위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