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이산가족 금강산 순차상봉은 일부우려와 달리 대체로 순항 했으나 당초 지난해 10월의 예정보다 6개월 늦게 이뤄진 탓에 후유증도 남겼다. 반년이라는 결코 길지 않은 기간 고령 이산가족의 사망이 잇따랐던 사례는 이산가족 문제 해결의 제도화, 정례화가 시급함을 절감케 했다. 5박6일간 두번 이뤄진 상봉 행사에서만 남북 가족 4명(남 2명, 북 2명)의 사망소식을 접해야 했던 것이다. 지난달 28일부터 사흘간의 1진 행사에서 남측의 안용관(81)씨와 박재례(64) 할머니는 북측 가족이 최근 사망했다는 소식을, 북측의 이신호(66.여)씨는 남측 어머니 어병순(94))씨가 상봉 이틀전 돌아가셨다는 비보를 접해야 했다. 이어 1일부터의2진 방문 때 역시 북측 이산가족 우묘현(68.여)씨도 남측 가족의 부음을 들었다. 고령화에 따른 문제가 심각한 만큼 이산가족 문제는 결국 생사.주소 확인, 서신교환 확대, 상설 면회소 설치 등을 통해 제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이번 금강산 상봉을 비롯해 1회성 행사 수준에 머물고 있는 이산가족 해법을 상봉 정례화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고령 이산가족의 조속한 상봉 실현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이번 금강산순차상봉을 면회소 설치의 디딤돌로 삼아 나겠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대한적십자사 관계자는 "앞으로 5∼10년이면 이산가족 1세대가 거의 모두 사망할 수 있다"면서 "생사.주소확인 및 서신교환 확대, 면회소 설치 등으로 빠른 시일내에 이산상봉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의 제도화'를 올해 중점과제로 설정한 통일부 역시 이번 금강산 상봉 성과를 면밀하게 검토한 후 생사.주소 확인과 서신교환 확대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낸 다음 이를 면회소 설치로 연계시킨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남북한 적십자사는 곧 제4차 적십자 회담을 열고 1차 회담(2000.6.27∼30)에서 합의됐지만 아직 제대로 의견이 조율되지 않고 있는 상설 면회소 설치 문제를 본격 논의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금강산 상봉에서 남북 가족들이 산책하듯 절경인 삼일포를 둘러본 동행참관이 처음 실현된 것은 이산상봉 정례화.제도화에 대한 북측의 `호의적인 접근'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정부 또한 이산가족 상봉과 직간접으로 연관있는 경의선 철도.도로 및 금강산육로 연결을 연내 끝낸다는 방침 아래 도라산역.금강산 면회소 설치를 추진해 이산상봉 제도화 해법에 대한 전망을 높여주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심규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