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14일 연두기자회견에서한반도 평화구축의 중심축인 북미관계 진전에 대해 "확실한 전망이 없다고 말할 수있다"며 매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김 대통령의 이같은 반응은 지난해 1월 조지 W. 부시 미행정부 출범이후 우여곡절 속에서도 북미관계가 최악의 국면만큼은 피해온데다 9.11 테러이후 최근들어 다소 관계개선의 조짐이 조금씩 보이는 상황을 반영한 조심스런 분석으로 풀이된다. 김 대통령은 "부시 행정부도 언제, 어디서든 북한과 대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북한도 미국과 대화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며 "북한의 2개 반테러협약 가입으로상황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외교통상부 당국자들도 올들어서는 지난해처럼 비관적 전망만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물론 구체적인 징후는 없지만 국제적 환경이 북미대화의 진전을추동할 수 있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는 것이다. 올들어 처음으로 지난 10일 박길연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대사와 잭 프리처드미 한반도평화회담 담당특사가 만난 것이나 9.11 테러과 미국의 대아프간 공격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미국의 외교정책 방향이 테러이전 상태로 회귀하고 있다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앞서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는 지난 8일 하와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의회포럼(APPF) 총회 연설에서 "조만간 북미관계가 호전될 조짐이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따라서 김 대통령이 밝힌대로 북미가 서로의 깊은 불신을 씻고 대화의 `계기''를만드는 것이 현재로서는 북미관계 개선에 관건으로 보인다. 이같은 맥락에서 우리 정부는 북미대화 재개를 위한 국내외적 기반을 조성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먼저 4강외교를 굳건히 다져 북미대화가 이뤄질 수 있는 안정적 기반을 넓히는한편, 이달말 서울에서 한미일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를 열어 3국의 대북정책 방향을 조율한뒤 한미 외무장관 회담과 내달 19-21일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미관계, 나아가 남북관계의 경색까지도 탈피한다는 계획인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권경복기자 kkb@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