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동원 통일부 장관 해임안 통과는 DJP공조의 파기를 의미하며 3년반동안 유지돼온 공동정부의 붕괴를 뜻한다. 자민련의 교섭단체 와해로 시작될 정치권 대변화의 서곡인 것이다. 당장 자민련 출신 장관들이 퇴진할 경우 조기당정개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여권 내부의 격변이 예상된다. 게다가 민주당이 소수여당으로 전락,국정운영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임에 따라 이를 돌파할 카드로 보.혁 이념에 따른 정계개편을 추진할 개연성도 다분하다. 제3당을 이끌 "JP 대망론"의 향배와 함께 여야 대선구도에도 적지않은 변화를 몰고올 것으로 보인다. DJP의 공조파기는 현 정치권이 '여대야소'에서 '여소야대' 구도로 재편되는 것을 의미한다. 민주당은 지금까지 3당연합(민주당 1백14석,자민련 20석,민국당 2석)을 통해 1백36석을 확보,재적(2백71석) 과반수를 넘는 수의 우위를 점해왔다. 그러나 공조붕괴로 자민련 이적의원 4명이 모두 원대복귀하더라도 1백18석만을 보유하게 된다. 공조유지를 선언한 민국당(2석)을 합해도 1백20석으로 정국을 끌어가야 하는 형편이다. 반면 야당은 한나라당(1백32석)과 자민련 의석(16석)을 합해 안정적 과반수를 확보하게 된다. 야당이 국회 표결 과정에서 각종 현안을 밀어붙일 경우 현 정권의 국정운영에 치명타를 줄 수도 있다. 물론 DJP공조 붕괴로 한나라당과 자민련이 연대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이같은 극단적인 여소야대 구도는 정국을 주도적으로 운영해야 할 여권에 엄청난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일각에서는 민주당과 자민련이 냉각기를 거친 뒤 재결합할 가능성도 점치고 있으나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공조가 복구되더라도 과거와 같은 협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정계개편이 불가피하지 않느냐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런 기류의 반영이다. 현 정권의 남은 임기가 아직도 1년6개월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차제에 '보·혁구도'로 재편해야 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