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중국 베이징(北京)주재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 사무소에서 난민지위 인정 등을 요구했던 탈북자 7명이 제3국을 거쳐 입국하기까지의 과정으로 정부의 노력이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1월 탈북자 문제 해결에서 `조용한 외교'를 구사해오다 중국 정부에 의한 북한강제 송환이라는 쓴 경험을 갖고 있던 터라 이번 탈북자의 입국은 정부의 조용하면서도 신속한 외교적 노력이 나름대로 빛을 봤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이번 사건이 발생한 직후부터 중국 정부 및 UNHCR측과 긴밀한 외교접촉을 벌여왔다. 26일 오전 UNHCR 베이징 사무소가 주중 대사관에 이 사건을 통보한 뒤 정부는즉각 주중 대사관과 주제네바 대표부에 긴급 훈령을 보내, 탈북자들이 북한에 송환돼서는 안되며 `자유의사'에 따라 정착지가 결정될 수 있도록 중국 정부와 협의할 것을 지시했다. 외교 사령탑인 한승수(韓昇洙) 외교장관도 이날 정부 중앙청사로 이임인사차 예방한 우다웨이(武大偉) 주한 중국대사에게 이같은 뜻을 전달하면서 중국 정부가 적극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또 주중대사관과 중국 외교부간의 `핫라인'을 가동, 의사소통과 정부의 일관된 입장을 전달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27일에는 사건이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 법적 대응책 마련 등을 위한 외교부 대책반을 설치했으며, 최성홍(崔成泓) 외교차관을 통해 우 대사에게 탈북자들의 인도적 처리를 위한 중국측의 협조를 재차 전달했다. 같은 날 오후 중국 외교부는 주중 대사관을 통해 탈북자 7명의 제3국 이송방침을 통보했고 다음날 UNHCR와 제3국 정부는 탈북자들의 단기체류에 합의하는 등 사태는 급속하게 진전됐다. 이 때까지도 정부는 탈북자의 신변안전과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고려, 취재진들에게 제3국 이송과 곧이은 서울도착 방침을 전혀 내비치지 않을 정도로 철저한 보안상태를 유지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 당국자는 정부가 정확한 설명을 하지 않아 혼란이 발생한 부분에 대해 "사실대로 알렸더라면 탈북자들의 안전을 책임지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탈북자 문제해결을 위한 `큰 틀' 차원에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탈북자의 입국을 다루는데 있어 "정부가 무성의하다"는 인권단체와 탈북자 관련단체들의 비난을 감수하면서도 이처럼 정부가 신속하게 대처한 것은 인권중시와 함께 남북관계에 손상을 가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차단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다만 정부와 외교분석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중국의 탈북자 정책이 강경자세를 보이지 않을지 향후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권경복기자 kkb@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