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 15일부터 열린 '제주 평화포럼'은 '제주 평화선언'을 채택하고 17일 폐막됐다. 이번 포럼에는 김대중 대통령을 비롯 윌리엄 페리 전 미 대북정책 조정관 등 국내외 저명 정치인과 재계,학계,언론계 인사 등 2백여명이 참석했다. 또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미하일 고르바초프 구 소련 대통령 등 냉전 종식 시기의 지도자들은 영상 메시지를 보내왔다. ◇기조연설=김 대통령은 지난 16일 포럼에 참석 "남북관계의 개선은 북·미관계 개선과 병행될 때 성공을 거둘 수 있으며 북·미관계 역시 남북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서 "어느 하나만의 실현으로는 한반도 평화와 남북간 교류 협력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어렵다"고 역설했다. 김 대통령은 이어 "미국 부시 대통령의 대북한 대화재개를 크게 환영하며 앞으로 북·미대화에서 의미있는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하고 "금강산 육로 관광과 금강산 지역 관광특구 지정문제가 남북간에 합의된 것도 매우 중요한 진전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특별연설=페리 전 대북정책 조정관은 "미국의 지도자가 6개월전 '북·미 공동 코뮈니케'에 합의한 북한 지도자와 회담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며 "그렇게 해야만 한반도에서 진정한 화해와 평화를 이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클린턴 행정부 때 작성된 대북정책은 초당적인 관점에서 만들어졌다"면서 "부시 행정부도 클린턴 행정부 때의 대북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남북의 두 지도자가 합의했으나 현재 연기된 남북 장관급 회담은 계속돼야 한다"고 지적한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영상메시지=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1주년 성과를 평가한후 동북아 공동 평화와 번영을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한반도에서 냉전의 잔재가 제거되기까지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전제한뒤 "미국뿐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모든 국가간에 충분한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카소네 전 총리는 "동아시아·태평양지역의 평화와 번영 및 우호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서는 아세안 10개국과 일본 한국 중국 3국이 10+3 형태의 '동아시아 경제·안보 연합공동체'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고 밝혔다. 또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러시아는 국제사회에서 독립적으로 하나의 통일된 민주국가에서 살고자하는 한민족의 열망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푸틴 대통령의 남북한 등거리 정책은 양국의 접근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평화선언 채택=17일 채택된 '제주 평화선언'은 ?상호 관용과 인내,화해에 기초한 남북교류와 협력의 확대만이 냉전의 마지막 고도인 한반도에 평화공존과 통일을 실현시키는 가장 확실한 대안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제주 평화선언은 또 △남북정상회담 정신 계승을 위한 제주 평화포럼의 정례화 △제주의 한반도·동북아·세계평화의 구축 견인차 역할 노력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번영을 위한 연계망 구축 △남북평화센터 설립 등을 담고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