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대북정책을 "포괄적 상호주의"에 입각해 전쟁방지를 위한 실질적 조치를 끌어내는데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이는 속도조절 및 "엄격한 상호주의"를 내세운 미국과 "핵.미사일 및 경제협력 일괄타결"을 주장하는 북한의 관심사를 모두 만족시키면서 한반도 문제 해결에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전략이다.

김 대통령은 포괄적 상호주의와 함께 미국이 핵.미사일을, 남한이 재래식 무기 감축을 각각 담당하는 "한.미간 역할분담론"도 새로운 해법으로 제시했다.

김 대통령은 11일 귀국보고회에서 "부시 대통령의 북한에 대한 우려가 무엇인지 파악했기 때문에 앞으로 정부정책 수립에 참고할 것이며 부시 대통령의 생각을 북한에 전달하고 우리의 조언도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또 제5차 남북 장관급 회담 등 향후 남북대화에서 군사공동위원회 설치, 최고 군사당국자간 직통전화(핫라인) 설치, 재래식 무기의 점진적 감축 등 지난 92년 체결된 남북 기본합의서에서 제시된 "실질적인 조치"를 가시화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동시에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한층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미국이 북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으며 북한도 획기적인 신뢰조치의 실천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어 김 대통령의 새로운 대북정책이 성공을 거둘지는 미지수다.

리처드 바우처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10일(한국시간)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의 새 행정부는 시간을 갖고 대북 정책을 검토한 뒤 적절하다고 판단될 때에 추진할 것"이라며 서둘러 북.미관계를 개선하지는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한.미.일 공조 및 다양한 대북접촉에 대한 미국과의 협의 <>김대통령의 포용정책 지지 <>북한에 대한 현실주의적 접근 <>대북정책 재검토 <>검증(Verification)과 점검(Monitor) 등 대북정책 6대 원칙을 발표했다.

서동만 상지대 교수는 "상반기로 예정된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실질적 합의를 얼마나 이끌어 내느냐가 향후 대북정책의 성패를 가늠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