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김대중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간의 정상회담은 향후 한.미 관계를 총괄적으로 조율하는 자리다.

특히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 속에서 이뤄지는 양 정상의 첫 대면은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 방향과 한반도 전체의 흐름을 좌우하는 중대한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대북정책 조율 =이번 정상회담에선 대북정책과 관련된 한·미간 시각차를 좁히는 일이 가장 큰 과제라는데 별 이견이 없다.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은 ''대북 포용정책''이라는 총론에서는 견해를 같이해 왔으나 ''북한의 변화'' ''상호주의 적용'' 등 각론에 있어서는 미묘한 시각차를 보여, 양국간 마찰의 우려까지 제기돼 왔다.

김 대통령은 우선 부시 대통령에게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상하이 시찰 등을 거론하며 북한이 개혁.개방노선을 채택, 올해에 더욱 빠르게 변화할 것이라는 점을 설명한 뒤 미국측의 대북 포용정책 지속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지난해 6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변화와 남북관계 진전 상황 등을 자세히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북한이 변화를 증명하려면 핵·미사일과 ''재래식 무기''의 감축 등 가시적 움직임을 보여줘야 한다는 미국내의 주장에 대해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선언''이 채택되면 이같은 군사적 위협이 해소될 것이라고 설득할 방침이다.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김 대통령은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이 한반도 냉전 해체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는 점을 미국측에 설명하면서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통령은 특히 미측과 제2차 남북정상회담의 의제와 시기 등에 대해 충분히 협의, 한.미간 갈등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고 미국의 지원 속에 남북관계를 진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김정일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계기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도출될 것이라는 점을 설명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 대통령은 이와 함께 현재의 정전체제를 남북간 평화협정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전달할 방침이다.

이를 논의할 4자회담의 조기 개최 필요성과 남과 북이 주체가 되고 미국과 중국이 이를 지지, 보장하는 ''2+2'' 평화체제 구축도 강조할 계획이다.

◇ 한.미 동맹강화 =김 대통령은 주한미군과 관련, 현 상황에서 감축 논의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특히 김 대통령은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일 위원장이 통일후 주한미군의 주둔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였음을 전하며, 한반도 평화체체 구축은 물론 동북아 평화안정을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을 강조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 대통령은 또 오는 10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 참석에 앞서 부시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줄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한편 부시 대통령은 한국측이 차세대 전투기 기종으로 미국 보잉사의 F-15K를 채택해 주도록 요청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 NMD =지난달 27일 한.러 공동성명에 ''탄도탄요격미사일(ABM) 조약 강화.보존'' 방침이 삽입돼 한차례 홍역을 치른 미국의 국가미사일방어(NMD) 체제 구축에 대한 의견 교환도 이뤄질 것이 확실하다.

김 대통령은 미국의 NMD 추진 의도를 ''이해''한다는 수준의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