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3국 외무장관이 25일 서울에서 회동했다.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 결과를 듣고 그에 따른 대북정책을 조율하기 위한 자리였다.

이날 3국 외무장관 회담에서는 남.북, 북.미 관계의 빠른 진전과 상대적으로 뒤처진 북.일관계 개선 등 제반 상황을 종합 점검한 것으로 보인다.

조명록 북한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의 방미에 이은 올브라이트 장관의 방북으로 북.미 수교가 임박하면서 3국간 공조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1시간30분 가량의 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3국 장관들은 구체적인 현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올브라이트 장관은 "이제 진지한 방법으로 북한과 관계발전을 논의할 단계에 이르렀으며 (3국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더욱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빈 외교통상부 장관은 "남.북, 북.미, 북.일 등 제반관계들이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같은 피상적 언급과 달리 실제 회담에서는 현안들이 매우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요한 진전"을 이룬 미사일 문제에 대한 올브라이트 장관의 구체적 설명이 있었다.

올브라이트 장관은 특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더 이상 위성발사를 하지 않겠다"는 제안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올브라이트 장관은 김 위원장의 발언이 "미국이 북한의 위성을 대신 발사해 준다면 북한은 더 이상 위성 발사를 위한 장거리 로켓을 쏘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가장 해결을 원했던 장거리 미사일 문제가 해결의 가닥을 잡은 것.

올브라이트 장관은 특히 "다음주 북.미간 미사일과 관련해 전문가 회담을 갖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이 회담에서는 장거리 미사일 문제 뿐만 아니라 중.단거리 미사일 개발과 수출 문제도 다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해졌다.

이와 관련,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지하는 대신 미국이 북한의 위성발사를 해주는 방안에 대해 북.미간 큰 틀의 합의가 있었다"고 확인했다.

그는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개발 중단에 따른 보상문제에 대해서는 한.미간 아무런 논의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북한 핵개발 중단을 위해 우리가 부담해온 KEDO(한반도에너지 개발기구)식 지원은 없을 것이란 얘기다.

그러나 올브라이트 장관은 북.미회담에서 미사일 문제 이외의 현안에서는 접점을 찾지 못한 점을 감안한듯 빌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