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국내 정치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 지도자로 새로이 자리매김하면서 김 대통령의 정국운영 방향과 전략 등이 큰 틀에서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야관계는 물론이고 국회의 역할과 차기대선 구도에 변수로 작용할 개연성이 다분하다.

우선 김 대통령이 지금까지와는 달리 보다 큰 정치를 구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강하다.

야당과의 대립각을 세우기보다는 ''상생의 정치'' 구현에 무게를 실을 가능성이 높고 이렇게 되면 대립으로 일관해온 여야관계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여권관계자도 13일 "김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음으로써 세계적 지도자가 된 상황인 만큼 김 대통령의 정국운영기조가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으로 본다"며 "탈정파적 시각에서 야당과의 협력에 우선순위를 둘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치전면에서 한발 물러나 남북관계와 경제살리기에 전념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렇게 되면 현재의 ''김 대통령-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의 대립구도가 크게 완화되고 국회가 정치의 중심으로 자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국회문제는 국회가 풀어야 한다"고 김 대통령이 수차례 강조했듯이 여야의 정치력이 어느 정도 복원되고 국회의 역할과 기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김 대통령이 정치전면에서 물러나 다소 관조자적 입장에서 정치를 바라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김 대통령이 당적을 이탈하라는 야당의 요구를 수용하는 결단을 내리거나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당적은 유지하되 총재직에서 물러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같은 관측은 세계적 지도자로 위상이 제고된 상황에서 김 대통령이 정권재창출에 얽매이지는 않을 것이란 전제에서 출발한다.

아울러 김 대통령이 평화상 수상으로 지도력이 강화돼 레임덕(권력누수)도 다소 늦춰질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여권 내부의 차기경쟁 본격점화도 다소 지연될 수 있다.

김 대통령은 국민화합을 모색하면서 경제살리기와 남북문제에 전념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