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문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12일 방북언론사 사장단과의 오찬에서 "(남북이산가족 상봉을)올해는 9,10월 매달 한번씩 하고 내년에는 이산가족들이 집에까지 갈 수 있게 해보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오는 11월과 12월,또 내년초 이산가족상봉 여부는 김 위원장의 언급이 없어 명확치 않다.

그러나 9월초 비전향장기수 송환 직후 면회소가 설치되면 이산가족 생사확인 등을 거쳐 어떤 형태로든 상봉은 정례화될 가능성이 크다.

올해 교환방문은 ''시범사업''의 성격을 띠는 것으로 내년부터는 면밀한 준비와 제도적 기반 위에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그런 의미에서 올해 시범사업이 향후 이산가족 상봉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통일연구원의 전현준 박사는 "김 위원장도 ''준비없이 갑자기 (상봉)하면 비극적 역사로 끝날 수가 있다''고 말하지 않았느냐"면서 "올해 시범사업에서 부작용이 없어야 내년엔 정말 고향방문이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이산가족문제의 완전해결 단계인 ''이산가족간 재결합''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서로가 판이한 체제와 이념아래에서 너무 오랫동안 떨어져 지냈을뿐 아니라 이산가족 상봉이 가져올 양체제에 대한 충격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 박사는 "명절때 성묘를 하거나 면회소를 통해 원할 경우 언제든 만날수 있게 되면 이산가족문제가 ''사실상'' 해결된 것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산가족문제를 감정적으로 접근,너무 급속히 추진하려고 욕심을 부려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있다.

그간 이산가족문제를 인도적 문제가 아닌 ''체제를 버리고 떠난 배신자''란 정치적 문제로 취급해온 북측의 입장을 고려,''속도조절''을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통일연구원의 허문영 기획조정실장은 "북이 곤란하다고 하면 양보하는 등 너무 한꺼번에 추진,부작용이 생기는 것보다 작은 것이라도 꾸준히 추진하는 것이 낫다"면서 "김 위원장의 속도와 방법을 아쉽지만 받아들이는 것이 북측을 안심시키고 남한은 실리를 취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