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와 자민련 "공동 정권"의 1년간 정치적 실험은 일단 성공작이었다는
평이다.

지난해 2월 출범 당시만 해도 사상 첫 여야 정권교체라는 승리감과 흥분이
잦아들고 난 뒤엔 DJP연대는 "내재적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는 게 정가의
대체적인 분석이었다.

진보와 보수라는 전혀 다른 이념적 스펙트럼을 갖고 있는 양당이 사사건건
충돌과 갈등을 빚을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었다.

이같은 예상을 깬 데는 무엇보다 김대중 대통령과 김종필 국무총리, 두
"정치 9단"의 끈끈한 공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두 사람은 국민회의나 자민련내에서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막강한 리더쉽
으로 온갖 잡음과 다툼을 잠재웠다.

각료 배분, 연합 공천 등 자칫 "밥그릇 싸움" 양상을 보일 수도 있었던
사안들도 일사분란하게 "교통정리"했다.

아울러 집권 초기 여소야대라는 불안한 정국이 계속된데다 ''경제 위기 극복''
이라는 국민적 열망을 달성하기 위해 마찰보다 의기투합이 급선무였던 점도
양당의 공조를 강화하는 요인이 됐다.

물론 양당간의 사소한 "삐걱거림"은 1년 내내 계속됐다.

"6.4 지방선거" 당시 강원도지사 후보 공천 문제를 비롯해 <>대북 햇볕정책
<>최장집 교수 사상논쟁 <>공정거래위 계좌추적권 보유 <>교원정년 단축
<>교원노조 허용 문제 등 마찰음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이견들은 양당 국정협의회와 청와대 주례보고 등의 의견조율
장치를 통해 제때에 수습되는 기민함을 보이면서 공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다른 각도에서 "공동 정권"의 1년은 "내각제 개헌 문제"를 둘러싸고 서로
간의 갈등의 골이 매우 깊어졌다는 시각도 있다.

지난해 후반기부터 내각제 개헌 시점을 놓고 양당은 "시기조절론"과 "조기
가시화"로 분열 조짐마저 보여온게 사실이다.

최근에는 자민련 충청권 의원들과 일부 원외 지구당 위원장들이 "약속 이행"
을 촉구하며 집단행동 움직임에 들어간데 맞서 국민회의 의원들은 "내각제
개헌 유보"를 결의하는 등 "기싸움"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앞으로 "공동 정권"이 내각제 개헌 문제로 "불안한 동거" 상태에 빠질지
아니면 지난 1년처럼 "경쟁과 협력의 틀"안에서 공생 해나갈지 주목된다.

< 한은구 기자 toha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