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의혹이 350억원 규모의 정·관계 금품로비 정황이 드러나는 등 끝없이 부풀고 있다. ‘대장동 50억원 클럽’ 등 갖은 리스트와 첩보가 자고 일어나면 쏟아진다. 모범적 민관 협력사업이라더니 실상은 거대한 ‘민관 유착’이었다는 의구심이 눈덩이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대장동 개발을 성남시장 시절의 최대 치적이라고 강조했지만 드러난 사실들을 조합해 보면 전혀 다른 그림이다. 공공개발을 내세워 원주민의 토지를 저가에 수용한 뒤 실체도 불분명한 민간사업자에게 싸게 공급해 누군가가 떼돈을 벌고 돈잔치까지 벌였다. 악취가 진동하는 사건의 한복판에 대법관, 특별검사, 고위 검사를 지낸 법조인의 이름이 줄줄이 등장하는 대목에선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

모든 이슈를 삼키는 블랙홀이 됐는데도 이 지사가 성실한 해명보다 억지 주장으로 의혹을 증폭시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행동대장 격이었던 유동규 씨에 대해 이 지사는 “측근이 아니며 수없이 많은 산하기관장 중 한 명에 불과하다”고 했지만 비상식적 해명이다. 자신의 최대 치적사업에 앞장섰고 “선거를 도왔다”고 자인한 인물이 측근이 아니면 누가 측근인가.

몇몇 인물이 ‘독박’을 쓰고 끝내기에는 의혹이 너무 커졌다. 이 지사는 민간사업자가 막대한 이익을 얻은 것에 대해 원래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사업이었다고 해명했지만, 공모에 참여했던 하나은행 산업은행 메리츠증권 등은 하나같이 ‘저(低)리스크, 하이 리턴’ 사업으로 평가한 사실도 드러났다. 자산관리 업무에서 성남도시개발공사를 완전히 배제해 화천대유가 배당을 독식할 수 있도록 공모지침서를 만든 의혹도 제기됐다. 수주째 온 나라가 시끄러운데도 여전히 모든 것이 안갯속이다. 민간사업자들의 정체조차 베일에 가려있다. 천화동인 5호 대주주는 자신이 실소유자가 아니라는 취지로 말했고,1000억원의 배당을 챙긴 천화동인 1호 주인 역시 ‘키맨’인 김만배가 아니라 유동규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오수 검찰총장은 그제 “여야, 신분, 지위를 막론하고 신속하고 철저하게 수사하라”고 지시했지만 뒷북도 이런 뒷북이 없다. 유동규를 긴급 체포했지만 휴대폰도 확보 못 했고 또 다른 주모자는 해외로 출국했다. 경찰은 금융정보분석원(FIU)에서 수상한 자금흐름을 통보받고도 6개월 가까이 뭉갰다. “몇천억원을 처바르는데 수사를 할 수 있을까”라던 한 관계자의 인터뷰를 많은 국민이 기억한다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